보편요금제 '무제한 요금' 논란 일 듯···주파수 부족도

Photo Image

선택약정할인 25% 논란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보편요금제 '무제한 요금'이 새로운 논쟁 포인트로 부상했다.

이동통신사업자는 최상위 요금제인 무제한 요금 가입자를 늘려 매출 감소분을 보충해야 한다. 그러나 정부가 정기적으로 요금 수준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보편요금제를 도입할 방침이어서 가입자 증대가 힘들 것이란 전망이다. 주파수 부담도 커 이통사는 매출 감소를 상쇄할 수단이 하나 사라질 것으로 우려했다.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 업계를 종합하면 이통사가 보편요금제 시행으로 줄어드는 매출을 상쇄하는 유력한 대안은 무제한 요금 가입자 확대다.

이통사가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을 올리는 방법은 과거 2·3세대(2G·3G) 이동통신 가입자를 롱텀에벌루션(LTE)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가입률 70~80%를 훌쩍 넘으면서 LTE 시장은 성장 여지가 적다.

남은 방법은 LTE 내에서 저가요금 가입자를 고가요금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동영상 등 대용량 콘텐츠를 집중 유통, 데이터 부담 없는 무제한요금 가입자를 늘리는 것이 무선사업 핵심 마케팅 전략이다. 이에 따라 이통3사 데이터중심 요금제 6만원대 이상 가입 비중은 2015년 12월 28%에서 올 4월 42.3%로 급증했다.

무제한요금 가입자 증가가 데이터 사용량을 늘리고 있지만, 데이터 필요 자체가 늘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LTE가 보편화하면서 모바일 세상이 음성에서 데이터로 변한 탓이다. 시스코와 메릴린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가입자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4.2기가바이트(GB)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세계 13개국 평균 2GB보다 갑절 높다.

문제는 이통사가 무제한요금 가입자를 늘리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과기정통부는 과도한 통신비 상승을 막기 위해 요금 수준과 데이터 제공량을 정기 조정하기로 했다. 데이터 사용량 증가가 과도한 통신비 부담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제도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기구'가 이 역할을 담당한다. 이통사는 무제한요금 가입자 확대에 따른 매출 증대가 어려운 것이다.

더 큰 어려움은 수용능력이다. 무제한요금 가입자가 늘면 매출이 늘 수는 있지만 트래픽도 급증한다. LTE 상위 5% 가입자가 전체 데이터의 42.7%를 사용한다. 더욱이 보편요금제는 요금 단계별로 지금보다 1~2GB 이상 데이터를 더 제공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이통사 주파수 수용능력에 큰 부담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통사 관계자는 “즉시 보편요금제가 시행된다면 연말 1인당 월 데이터 사용량이 8GB에 달할 것”이라면서 “이는 당초 예상치를 1GB 이상 초과하는 것이어서 이통사가 감당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