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2030년 AI 탑재한 스마트카 상용화…데이터 활용 능력 중요

중국 정부가 오는 2030년 인공지능(AI)을 탑재한 스마트카를 상용화할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스마트카 시대에는 데이터 활용 능력이 시장 주도권을 잡는 '열쇠'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Photo Image
팡춘린 중국 텔레매틱스협회(TIAA) 사무총장은 5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오토모티브 이노베이션데이 2017'에서 '중국 미래 자동차 발전 현황'을 발표했다.

팡춘린 중국 텔레매틱스협회(TIAA) 사무총장은 5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오토모티브 이노베이션데이 2017'에서 “중국은 2030년이 되면 전면적으로 스마트카 판매가 시작된다”면서 “스마트카는 AI 위주로 작동되고 자율주행이나 커넥티비티 등 부가 기능이 제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팡 총장에 따르면 스마트카 시장은 '기능'과 '서비스'로 나눠질 것으로 전망했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가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시장을 주도하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능 시장에서는 AI, 자율주행 등 기술적 발전이 핵심 요소가 된다고 전했다.

팡 총장은 “현재 스마트카 기능에 대한 시장과 서비스 시장이 분리돼 있지만, 차량용 5G 기술이 발전하면 기능과 서비스 융합이 가속화횔 것”이라며 “스마트카 기능이 발전하면 새로운 서비스 시장의 기본이 되고, 차량에서 생산되는 데이터 분석 서비스는 새로운 기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선순환 구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팡 총장은 스마트카 상용화를 위해서는 5G 기술 완성과 원가 하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5G 기술은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비즈니스 모델로 연결하기 어렵다는 것. 실제 TIAA는 중국, 미국, 유럽 등 많은 국가와 5G를 이용한 스마트카 서비스를 협의 중이지만,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팡 총장은 “차량 간 통신, 데이터 활용 등 스마트카 주요 기능에는 5G 기술이 필요하지만, 높은 원가 때문에 현재로서 투자 대비 수익성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다”며 “실제 중국에서는 고속도로 1㎞ 당 5G 네트워크를 설치할 경우 투자금을 회수하는데 30년이 걸린다는 분석도 나왔다”고 했다. 다만 팡 총장은 5G 비용 부담을 센서 부분 원가 절감으로 보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는 오는 2020년부터 2030년까지 5G 통신망을 확충해서 네크워크 한계를 넘어서고, 2030년 이후에는 본격적 스마트카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10년 전부터 교통부, 공안부, 공신부 등 정부 부처에서 법안 마련과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또 중국 강소성에 V2X 클러스터 시범 단지를 운영하고 있다.


류종은 자동차/항공 전문기자 rje312@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