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 금리 인상을 발표했다. 9월 또는 12월께 미국이 추가로 금리 인상할 경우 10년 만에 우리나라와 금리 역전도 일어난다. 파급력이 큰 자산 긴축도 예고됐다. 회복세에 있는 우리나라 경제도 경고등이 켜졌다.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도 높아지면서 가계부채, 수출 등 금융 시장 전반에 걸쳐 변화가 예고됐다. 경제 현안 해결에도 난관이 예상된다.
15일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Fed)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재 0.75~1.00%인 기준금리를 1.00~1.25%로 올렸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하반기에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총 4조5000억달러 규모의 자산 축소 계획도 제시했다. 경제 회복에 자신감을 보이며 경제성장률 목표치도 2.2%로 상향 조정했다.
미국 연준이 예상한 대로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미국 금리(1.00~1.25%) 상단과 한국은행 기준 금리(1.25%)가 같아졌다.
10년 만에 돌아온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 현상으로 인해 외국인 투자 자금 이탈 가능성도 높아졌다. 과거 한·미 기준금리 역전기(2005.8~2007.8) 사이에 국내 증권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 자금 19조7000억원이 빠져 나갔다.
우리나라의 하반기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제기됐다. 미국 연준이 '다소 빨라'지고 보유자산 축소 계획을 언급한 만큼 기준 금리 인상 압박도 강해졌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기준금리 인상 의견이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미 이주열 한은 총재가 더 이상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시사했고, 경우에 따라 금리 인상 가능성도 알린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정부와 금융 당국은 15일 오전부터 미국 금리 인상 관련 시장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불안감이 시장에 퍼지기 전에 조기 단속하고, 금융·외환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정부는 “시장 변동성 확대 시 적절한 시장 안정 조치를 적기에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언급했다.
문제는 실물경기 회복이다. 우리나라는 최악의 가계부채와 실업률에다 수출도 완연한 회복세에 이르지는 못했다. 산업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주력 수출 산업인 자동차, 철강 등이 주춤하고 신산업인 정보기술(IT) 및 바이오 등은 성장기에 들어서지도 못했다.
기획재정부는 8월에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 금융 시장 안정을 위한 실질 대응책을 내놓겠다는 계획이다. 김동연 경제팀의 추경, 일자리 현안에 금융시장 안정화 대책이라는 과제가 더해졌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려는 미국 연준의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예상되지만 미국 경제 성장 경로 이탈, 금리 인상에 대한 충격 등에 따르는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경기 회복 및 통화 정책 유연성을 저해할 수 있는 가계부채 부실을 방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증시는 미국과 한국의 반응이 엇갈렸다. 미국 다우존스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에 기술주는 하락했다. 우리나라 증시는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장 초반에 상승세를 보이다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로 하락했다.
김명희 경제금융증권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