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민 교수의 펀한 기술경영]<69>비소비 경쟁 전략

Photo Image

진이 남으로 초를 치면 이웃한 제와 위가 돕는다. 만일 진이 한과 위를 공략하면 제와 초가 군사를 내 돕고, 조는 황하를 넘어 진에 들어간다.

진이 제를 도모한다면 초는 배후를 치고, 한과 위는 길을 막는다. 연은 군사를 내 제를 돕고, 조는 진의 후방을 친다. 만약 진이 북쪽으로 조를 친다면 위가 황하를 건너 진으로 들어간다.

제와 연이 군사를 내 돕고, 초는 진의 후방을 친다. 진이 비록 강대하다고는 하지만 이렇듯 6국이 합종해서 연합하면 진이 경계를 넘지 못할 것이다.

모든 기업은 성장을 원한다. 그러나 그 비결을 찾아내기는 결코 쉽지 않다. 신제품의 6할은 시장을 밟지도 못하고, 나머지 4할의 6할은 제대로 된 고객을 찾지 못한다. 어떻게 하면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을까.

클레이턴 크리스텐슨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와 마이클 레이노 딜로이트컨설팅 파트너는 '비소비자 찾기'를 생각해 보라고 권한다. 기존 소비자를 놓고 경쟁하는 대신 차라리 소비되지 않는 자체와 경쟁하는 것이다. 몇 가지 사례로 설명한다.

Photo Image

내시경 검사는 내과의사에게도 난처한 일이다. 구불구불한 결장에 내시경을 집어넣는 것은 꽤나 숙련이 필요하다. 제조사가 한결 다루기 쉬운 내시경을 개발했다. 문제는 판매였다. 대부분의 고객은 기존 내시경에 익숙해져 있다. 영업사원은 기존 제품과 비교해 어떤 장점이 있느냐는 긴 질문에 부딪히기 일쑤다. 내시경 검사를 하지 않던 의사들의 반응은 사뭇 달랐다.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 도심으로 향하는 교외 고속도로 입구에는 간단한 먹거리를 파는 가게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다들 아침식사 대용으로 이것저것을 팔고 있다. 어느 날 밀크셰이크 가게가 문을 열었다. 가게는 의외로 호황이다. 놀랍게도 절반 정도가 이른 아침에 팔렸다.

왜 이런 반응일까. 효용은 고객에 따라 다르게 인지된다. 기존 의사에게 새 내시경은 기능이 좀 나아진 정도다. 그동안 내시경 진료를 안 한 의사에게는 파괴적 혁신으로 보였다. 기존 의사들은 조금 편해지는 정도지만 새로 시작한 의사에게는 꽤나 짭짤한 새 수입원이 된다.

밀크셰이크도 마찬가지다. 오전 8시 출근길에 먹을 것이라고는 누구도 생각 안 했다. 밀크셰이크는 안성맞춤이었다. 긴 운전 시간 동안 종종 목을 축이고 싶다. 베이글 빵가루나 케첩을 손에 묻히고 싶지는 않다. 도넛도 좋지만 문제는 금방 먹어치우는 탓에 이내 다시 심심해졌다.

두 교수는 비소비로부터 성장을 끌어내라고 말한다. 기존 고객은 중요하지만 새로운 고객을 찾는 방식은 종종 의외의 성장 원천을 제공한다. 교수는 세 가지를 제안한다.첫째 필요보다 행동에 주목하라. 밀크셰이크는 아침 식사거리가 아니다. 그다지 건강에 좋지도 않다. 그러나 출근길 도로 위에 운전하면서 따분한 시간을 보내야 하는 운전자에게 딱 맞는 제품이다. 둘째 새로운 판매 채널을 찾으라. 혼다나 소니 새 제품은 버려진 채널로 공급됐다. 스포츠용품이나 사후관리(AS)를 제공할 수 없는 할인점을 찾았다.

셋째 위협 대신 기회에 초점을 두라. 동일한 상황도 위협으로 인식할 때 경직된다. 이때 자원은 주로 고객과 사업을 보호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위협 경직에 빠지지 마라.

소진은 진 혜왕에게 천하통일의 방책을 팔고자 한다. 혜왕은 그리 흥미를 보이지 않는다. 소진은 얼른 고객을 바꿔서 나머지 여섯 나라를 찾는다. 가장 멀리 위치한 연 문공에게는 서쪽을 막은 조가 무너지면 순망치한의 꼴이 되지 않겠느냐고 설득한다. 조에는 진이 조를 치지 않음은 한과 위가 배후를 찌르지나 않을까 우려한 탓이니 한, 위가 망한다면 조 역시 무사하지 못하리라고 말한다.

기원전 333년 연, 한, 제, 위, 초, 조 6국은 환수에 모여서 피로 맹약하고 형제처럼 진에 대항하기로 한다. 소진은 이날 협약을 주관하고 6국의 재상이 된다. 합종을 완성한 후 조나라로 돌아올 때 소진의 행렬은 사뭇 위풍당당했다고 전해진다.

그가 최강국이던 진나라만 바라보고 눌러앉았다면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동일한 혁신이라 하더라도 파괴적 혁신으로 여기는 고객의 가치는 고만고만한 제품으로 보는 고객보다 높다. 비소비 경쟁 전략은 이렇듯 오래된 지혜였다.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jpark@konkuk.ac.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