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새해 금융권, 신기술 융합 원년 돼야

Photo Image

“블록체인이 국회에서 논의되려면 앞으로 몇 년은 더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한 위원이 지난해 6월 사석에서 한 말이다. 당시 그는 화두인 개인간(P2P) 금융과 관련된 의견을 많이 제시했다. 블록체인 업체가 규제 완화를 요구하자 난감하다는 표정을 지었다. 아직 국내에서 논의되기엔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그의 예상과 달리 신기술 속도는 빨랐다. 블록체인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물살을 탔고, 올해 금융권의 패러다임을 혁신하는 기대주로 꼽힌다. 정유년에 주목받는 또 하나의 기술은 인공지능(AI)이다. 로보어드바이저가 본격 꽃피우고 개인금융비서 `챗봇` 등장으로 자산관리 시장이 격변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AI와 금융 간 융합은 미국, 영국 등 선진국보다 10년 가까이 뒤처졌다. 미국 대표 로보어드바이저업체 웰스프런트와 베터먼트는 2008년에 설립됐지만 우리는 이제 겨우 발걸음을 뗐다. JP모건, 바클레이즈 등 세계 유수 금융사도 이미 로봇자동화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국내는 늦은 만큼 정부의 정책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업계에서 요구하는 비대면 일임 계약 제한을 완화하는 방안 등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기존 금융사들도 강 건너 불구경만 하고 있어서는 안 된다. 저금리·저성장 시대를 맞아 더 이상 예대 마진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객의 눈높이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비적극 태도로 정보기술(IT) 기업과의 제휴에 그치지 말고 신기술을 직접 개발하거나 인수합병(M&A)에 나서야 한다.

일부에선 신기술이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는 암울한 미래를 예견한다. 신기술은 이제 더 이상 거부할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이다. 이에 대한 논쟁은 뒤로 하고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신기술과 함께 이를 받아들여서 공유, 활용, 발전시키는 아이디어 중심 생태계가 중요하다. 무엇보다 기존 금융권의 높은 진입 장벽으로 소외받아 온 금융 소비자도 신기술로 폭넓은 혜택을 누리는 한 해가 되길 기대한다.

김지혜 금융산업/금융IT 기자 jihy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