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조류독감 특단 조치···70초마다 축산차량 위치 확인

Photo Image

정부가 사상 최악의 피해를 낸 변종 조류독감(AI) 대응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방역 체계를 강화한다. 기존 체계로 변종 AI 대처가 어렵다고 판단, `실시간 방역시스템`을 도입했다. 축산 농가를 출입하는 차량 위성항법장치(GPS) 교체도 서두르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축산 차량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종합상황관제시스템을 도입했다고 29일 밝혔다. 4개월 동안의 개발과 검증을 마치고 현장에 긴급 투입했다고 덧붙였다. 사상 최대 피해를 유발한 AI 추가 확산을 방지하고, 사전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시스템은 축산 차량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차량에 부착된 GPS 정보가 70초마다 갱신, 정밀 위치 추적이 가능해졌다. GPS 정보가 더욱 정밀해지면서 어느 도로를 통해 이동했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엔드 투 엔드` 개념으로 지역 간 이동 여부만 알 수 있었다.

농림부는 2012년 말 도입 이후 3년이 지난 GPS 장치를 교체하도록 차주를 독려하고 있다. 3년이 지나면 기기가 낡아 위치 정확도가 떨어진다. 1개월 요금을 감면하고 월 9900원인 통신요금의 50%를 보조한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특정 농가에서 AI가 의심되면 메시지를 즉시 보내 해당 농가를 방문한 축산 차량이 그 지역을 떠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면서 “실시간 이동 경로 파악이 가능해지면서 더욱 세밀하게 동물 감염에 대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ICT 전문가는 변이를 거듭하며 전파 속도가 빠르고 강력해진 AI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방역 개념을 `확산방지`에서 `원발조기대응`으로 바꿔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 번 퍼지기 시작하면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원발을 조기에 발견하고, 발견하자마자 즉각 대응 태세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통사 관계자는 “축산 농가에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부착해서 실시간 관리한다면 AI 의심 증상 발현 시 즉각 대응에 나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면서 “지진 대응 체계처럼 AI 발생 직후 이를 지방자치단체 등에 즉각 전파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변종 AI(H5N6형)에 `불의의 일격`을 당하긴 했지만 AI 대응 방법은 현실에서 ICT 방역체계 고도화밖에 없다는 건 과거에도 확인됐다.

정부는 현장 조사를 통한 주먹구구식 대처의 한계를 절감하고 ICT를 동물 방역 체계에 전면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2008년 디지털가축방역체계 구축 사업을 시작,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을 2013년 실전 투입하는 결실을 맺었다. 축산 검역 담당자가 농장을 방문해 역학 조사를 하는 것보다 다섯 배 이상 시간을 단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2014년에는 KT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AI 확산 경로 예측에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도입했다. KT는 최초 AI 발병(원발) 원인이 철새인 것은 맞지만 이후 국내 확산은 축산 농가를 방문한 차량이 원인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실증했다. 이후 AI 대응력이 대폭 개선됐다. 월 100억원이 넘던 AI 살처분 보상금액은 4억원대로 뚝 떨어졌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