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창업과 해외진출 초점 맞춘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 성과는?

정부는 정보보호산업 진흥법(이하 진흥법) 제정에 따라 6월 `제1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K-ICT 시큐리티 2020)`을 내놨다. 기존 정책을 재점검, 보완해 2020년까지 추진하는 법정 계획이다. 창업과 해외진출을 중심으로 향후 5년 동안 추진할 10대 정책 과제 등이 포함됐다.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28일 “진흥법 시행 이후에도 긴밀한 유관 부처 협조가 필요한 정책이 많았다”면서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법정 계획 수립으로 다양한 정보 보호 산업 관련 제도 도입에 필요한 부처 간 협력에 힘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주요 정책 목표로 2020년까지 정보 보호 창업기업(스타트업) 100개 육성과 수출 4조5000억원 달성을 세웠다. 태생부터 세계 시장을 지향하는 유망 스타트업을 키워 내수 위주의 정보 보호 산업 체질을 수출 주도형으로 개선한다는 의지를 담았다. 5년에 걸쳐 추진하는 계획인 만큼 당장 눈에 띄는 성과는 기대하기 어렵지만 일부 영역에서는 토대를 마련했다.

정보 보호 스타트업 지원 대표 사례로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매스챌린지`에서 최고상을 받은 `이와이엘`을 꼽을 수 있다. 극미량 방사성동위원소 자연붕괴 현상에 기반을 둔 난수생성 기술과 제품 개발에 성공한 회사다.

워싱턴에 설립된 글로벌혁신센터(KIC)가 미국 정보 보호 특화 액셀러레이터 마하37과 협력 관계를 맺고 국내 정보 보호 스타트업의 미국 진출을 지원한다. 미래부는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학, 액셀러레이터 등에서 정보 보호 분야 스타트업 80여 업체를 발굴하고 해외 시장 성공 가능성이 엿보이는 유망 기업을 선정해 육성 프로그램에 참여시켰다.

정보 보호 산업계의 움직임도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 미래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권역별 주요 거점 국가를 선정해 운영하고 있는 해외 전략 거점이 한몫했다. KISA 인력의 현지 파견 가능한 체계가 마련되면서 국내 기업이 진출하는데 필요한 시장 동향과 수요 정보 등 파악이 쉬워졌다. 개발도상국에 한국형 정보 보호 모델을 전수하고 국내 기업과 연결고리를 맺는 시장 연계형 초청 연수도 본격 사업화 기회로 이어지기 시작했다.

홍기융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장은 “진흥 계획 수립으로 정보 보호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돼 올 한 해 예년에 비해 많은 해외 진출 작업이 이뤄졌다”면서 “과거에는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 보호 수요 동향 정보나 국가 간 비즈니스 상담회 덕분에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도 탄력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