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5G 선언적 상용화에 그치지 않도록 기술·서비스 집중 육성

`5세대(5G) 이동통신 발전전략(5G 2.0)`은 5G 상용화와 동시에 시장과 서비스를 선제 육성, 4차 산업혁명 `성장엔진`으로 삼기 위한 전략이다.

5G 시대 세계 주도권을 얻기 위해 서비스, 기술, 표준, 생태계 4대 분야 12개 과제를 집중 추진한다.

Photo Image

정부는 5G 서비스 로드맵을 확정,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2017년까지 평창 올림픽경기장 주변과 광화문 등 주요 시설에 5G 시범망을 구축, 2018년 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 2019년 상반기 5G 주파수를 할당하고 이를 바탕으로 2020년 세계 최초 5G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다는 목표다.

상용화 이후에는 5G가 선언적 의미의 기술 상용화에 그치지 않도록 2022년까지 5대 융합서비스를 선정해 집중 육성한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인공지능비서,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재난대응 및 의료 분야가 포함됐다. 헬스케어(대구), 드론(경남) 등 지역별 사물인터넷 거점 사업에 5G를 추가 적용, 시장을 키울 방침이다.

기술 경쟁력 선점 전략도 구체화한다.

5G 관련 10대 유망분야 연구개발(R&D)에 911억원을 투입한다. 통신분야에서 소형셀, RF칩셋, 이동형기지국, 모바일엣지컴퓨팅(MEC), 인빌딩솔루션이 육성 대상이다. 융합 서비스 분야에서는 자율주행차 부품, 스마트시티용 제어모듈, 원격제어솔루션, 초실감디바이스 부품, 재난대응서비스 기술에 R&D 역량을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중국, 유럽연합(EU), 미국 등 국제공동연구도 강화한다.

국제 공조를 바탕으로 5G 통신과 융합기술 표준화도 주도한다.

5G 주파수 주도권 확보를 위해 우리나라가 미국, 일본과 결성한 `28㎓ 이니셔티브` 활동을 강화한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표준화 논의에 국내 기업과 기관이 작성한 5G 표준을 제출할 계획이다.

각종 인증과 테스트베드를 제공해 5G 융합산업 기반 조성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새해 20억원을 들여 개방형 5G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2018년까지 5G 국제 공인 시험인증 체계를 마련한다. 해외수출과 5G 전략을 위한 범부처 차원 추진 위원회도 가동할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20년부터 2026년까지 5G 기기·장비 수출과 내수시장 활성화로 427조원 매출을 달성하고 국내 서비스 부문에서만 62조원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