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는 감염병이 한 일을 알고 있다

Photo Image
KT 빅데이터센터 직원들이 해외감염병 발병지역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는 모습.

약국에서 약을 사거나 해외 여행 다녀온 기록을 활용해 감염병 확산을 막는 `빅데이터 보건 정책`이 본격 추진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발병 조기 파악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1일 밝혔다.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DUR)의 `실시간 처방 내역`을 빅데이터 분석, 감염병 발생을 사전에 알아챌 수 있다는 게 기본 아이디어다.

2010년 구축한 DUR에는 51억건의 의약품 처방·조제 데이터가 축적됐다. 지난해 하루 평균 460만건의 데이터가 수집됐다.

이 데이터를 분석하면 감염병이 발생하기 직전 처방이 급증하는 의약품 종류를 파악해 사전 대응할 수 있다.

감염병 패턴이 나타나면 이를 실시간으로 추적해 초기 확산을 막는다.

지금까지 감염병 감시체계는 병원 신고 기반이어서 체계적이지 않고 시간도 오래 걸렸다. 주간 단위 신고 방식이어서 진단부터 신고까지 최대 1주일이 걸렸다.

우선 법정감염병 가운데 가장 발병이 많은 인플루엔자 조기 파악시스템 개발을 마쳤다. 새해에는 수족구병과 결핵도 지원할 계획이다. 향후 모든 감염병으로 대상을 확대한다.

미래부는 지난달 질병관리본부와 이동통신 로밍 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외 유입 감염병 차단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이통 3사와 협약했다.

로밍 빅데이터를 통해 해외 여행자가 어느 국가를 방문했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여행자 자진 신고에 의존해 경유국이 누락되는 등 허점이 있었다. 로밍 자료를 이용하면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다.

KT가 지난달 자사 고객을 대상으로 이 서비스를 우선 적용했고, LG유플러스는 새해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김규태 LG유플러스 사업협력담당은 “해외 신·변종 감염병이 유입되면 로밍 빅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유입을 조기 발견하고 질병관리본부와 협력할 것”이라며 “서비스는 새해 1월부터 시작한다”고 말했다.

장석영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감염병 발생 추이를 조기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면서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의료 빅데이터 활용가치를 더욱 높이도록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