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트럼프 행정부 출범 뒤 韓 산업별 기상도는?

Photo Image

`도널드 트럼프 정책이 곧 세계 정책`이 된 상황에서 일정 정도의 파급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가 흐름에 따라 사업 환경이나 수익이 결정되는 정유·석유화학 산업은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편이다. 미국 원유·가스 공급량이 늘어나면 국제유가는 박스권에 갇힐 공산이 크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합의가 어느 정도 이행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원유 생산량을 늘린다면 유가는 셰일오일 채산성이 담보되는 배럴당 60달러선을 오갈 개연성이 높게 점쳐진다.

정유·석유화학업계를 수혜주로 꼽는 이유는 유가 변동성은 발생했지만 제품 수요가 꾸준해서 수익성이 개선될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강동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원유 개발 정책은 공급뿐만 아니라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규제 완화 등 수요 자극 정책이 함께 진행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분석했다.

다만 원유 공급 과잉, 이란 경제 제재 등 강경한 대 중동 정책으로 인한 수급 불안정 가능성은 부정 변수로 지목된다.

조선업종도 트럼프의 화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석유제품 무역량이 증가하면 MR탱커, 정유사 해양플랜트, LNG선 등 발주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 신산업 시장은 축소가 불가피하지만 오히려 안정 성장 기회를 맞을 수 있다는 역발상 분석도 나온다. 한국 수출입 은행에 따르면 올해 미국 태양광 시장은 투자세액공제(ITC) 만료 전의 수요 집중으로 사상 최대인 12GW 기록했다. 중국 태양광 기업 진입이 막혀 있어 우리 기업이 주력 시장 역할을 했다.

트럼프 취임 이후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라 프로젝트 금융비용이 오르고 석탄 발전 폐쇄가 적극 이뤄지지 않는다면 타격을 피할 수 없다.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핵심 부품인 배터리 업계도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위축되면 피해가 예상된다. 원유 생산이 늘어나 저유가가 장기화되면 전기차 보급 차질도 빚을 수 있다.

강정화 수출입은행 조사연구위원은 “현재 상황만 놓고 보면 신재생 등 기후변화 관련 시장 축소는 불가피해 보인다”면서 “화석연료 사용을 늘릴 수 있는 환경 규제 철폐 여부를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수도 있다. 트럼프가 최근 기후변화에 대해 전향 자세를 취하고 있다. 대표 기후변화론자인 엘 고어 전 부통령과 회동한 뒤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까지 말했다. 엘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테크업체 간담회에 초청했고, 이어 자신의 정책 자문 기구 역할을 할 `전략, 정책 포럼` 회원사로 임명하기도 했다.

한병화 현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정책의 핵심 가운데 하나는 미국 내 고용 창출 확대”라면서 “전기차, 신재생 산업 고용 창출 능력을 감안하면 관련 산업을 무조건 홀대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최호 전기전력 전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