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금리를 인상했다. 내년 3차례 추가인상 가능성까지 내비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는 14일(현지시간)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를 0.50~0.75%로 0.25%P 올리기로 했다. 위원 10명의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당장 우리나라 수출기업에는 비상이 걸릴 전망이다.
금리인상이 되살아나는 신흥국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수출이 주력인 우리 경제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 다만, 결제통화를 달러로 하는 기업이나 대미 수출 기업에는 긍정적이란 분석도 있다.
이날 연준 위원들이 공개한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보면 낙관론에 무게가 실린다. 연준은 내년 미국 경제 전망치를 기존 1.9~2.2% 성장에서 1.9~2.3%로 상단을 0.1% 올렸다. 또 개인소비지출(PCE) 인플레이션 역시 1.7~2.0%로 상단을 0.1% 높게 잡았다. 큰폭은 아니지만 이번 회의가 트럼프 재정정책을 본격적으로 반영하지 않았고, 시장 컨센서스(전망치)를 밑돌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전망 추가 상향조정이 예상된다.
미국 경제 성장은 수출기업에는 호재지만 추가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은 대다수 신흥국이 부담한다. 특히 중국 경제가 타격을 입는다면 우리 경제는 회복이 어려워진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미국 금리인상은 국제 금융시장 불안, 유가 하락, 신흥국 경기침체를 유발할 것”이라며 “자동차, 석유화학, 일반기계 등 최근 유가상승과 신흥국 경기회복에 수출 회복이 예상되는 업종을 중심으로 부정적 영향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금융시장은 더 위험이 클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과거 미국 금리인상기와 우리 경제 상관성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국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만, 금융시장에서 변동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연준이 내년 최다 3차례가량 금리인상을 예고했다는 점이다. 물론 올해도 경험했듯이 내년 경기 상황을 봐가며 추가 인상이 진행되겠지만, 최소 두차례만 인상해도 우리나라 기준금리와 비슷한 수준이 돼 외국인 자본 유출 등의 피해가 예상된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15일 오전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에서 “최근 시장금리 상승과 정책금리 인상 전망이 저금리 시대 종언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는 해석이 있다”면서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리가 올라가면 여러 곳에서 돈을 빌린 저소득·다중채무자의 부실 가능성도 커진다. 개별 금융회사는 리스크 관리를 이유로 취약계층에 해준 대출을 회수하려 할 수 있다.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질 전망이다. 1300조원을 넘긴 가계부채와 경기 부진 영향으로 금리를 올릴 수도 내릴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향후 금리 전망과 관련해 “기준금리 결정은 자본 유출입도 고려할 요소지만 경기와 물가를 포함한 경제상황 전반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연준 금리인상만으로 예단할 수 없다”며 “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민간부문 외화유동성이 풍부하고, 외환보유액도 부족하지 않다”고 말해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할 뜻을 비췄다.
시기별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국내경제 영향
자료:현대경제연구원
업종별 단체의 내년 수출 전망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 참조(국제무역연구원, 2016.11.29.)
미국 금리인상의 수출 지역별 영향
출처: 한국무역협회 2016 미국 금리인상에 대한 수출기업 설문조사 결과
이성민 코스피 전문기자 smlee@etnews.com, 김명희 기업/정책 전문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