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중소기업, 28GHz 출력 10배 높이는 `전파렌즈` 개발

대학과 중소기업이 28㎓ 대역 전파 출력을 열 배 높이는 `전파렌즈`를 개발했다. 전파 도달 거리가 짧은 고주파 한계를 극복, 5세대(5G) 이동통신 필수 기술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이 기술은 우리나라가 5세대(5G) 주파수로 제시한 28㎓ 대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채찬병 연세대 교수팀과 통신부품 전문업체 센서뷰는 고주파용 초소형 전파렌즈(RF렌즈)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전파렌즈는 돋보기처럼 기지국 등 통신장비에 설치, 전파를 모아 출력을 높여 준다.대학과 중소기업이 28㎓ 대역 전파 출력을 열 배 높이는 `전파렌즈`를 개발했다. 전파 도달 거리가 짧은 고주파 한계를 극복, 5세대(5G) 이동통신 필수 기술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이 기술은 우리나라가 5세대(5G) 주파수로 제시한 28㎓ 대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채찬병 연세대 교수팀과 통신부품 전문업체 센서뷰는 고주파용 초소형 전파렌즈(RF렌즈)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전파렌즈는 돋보기처럼 기지국 등 통신장비에 설치, 전파를 모아 출력을 높여 준다.

Photo Image
국내 연구진과 중소기업이 5G 후보 주파수인 28GHz 대역 전파 출력을 10배 높이는 `전파렌즈`를 개발했다. 전파 도달거리가 짧은 고주파의 한계를 극복, 5세대(5G) 이동통신 필수 기술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6㎓ 이상 고주파는 파장이 짧기 때문에 저주파 대비 경로 손실이 많다. 장애물에 부딪혀도 회절률이 떨어져서 전파 도달 거리가 짧다. 장비 개발과 구축비도 많이 소요된다. 롱텀에벌루션(LTE)을 비롯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3㎓ 미만 저주파 대역에 집중된 것도 같은 이유다.

채 교수팀과 센서뷰가 개발한 전파렌즈는 28㎓ 대역 출력을 열 배 이상 높인다. 기존 대비 전파 도달 거리가 세 배 이상 늘어난다.

28㎓ 대역은 우리나라가 5G 대역으로 제안한 고주파 대역의 하나다. 특히 31.8~33.4㎓를 비롯한 다른 후보 대역보다 낮은 대역이어서 전파 특성이 가장 좋다. 경로 손실 문제가 해결되면 국제 표준화 대역 지정에 힘을 받을 수 있다.6㎓ 이상 고주파는 파장이 짧기 때문에 저주파 대비 경로 손실이 많다. 장애물에 부딪혀도 회절률이 떨어져서 전파 도달 거리가 짧다. 장비 개발과 구축비도 많이 소요된다. 롱텀에벌루션(LTE)을 비롯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3㎓ 미만 저주파 대역에 집중된 것도 같은 이유다.

채 교수팀과 센서뷰가 개발한 전파렌즈는 28㎓ 대역 출력을 열 배 이상 높인다. 기존 대비 전파 도달 거리가 세 배 이상 늘어난다.

28㎓ 대역은 우리나라가 5G 대역으로 제안한 고주파 대역의 하나다. 특히 31.8~33.4㎓를 비롯한 다른 후보 대역보다 낮은 대역이어서 전파 특성이 가장 좋다. 경로 손실 문제가 해결되면 국제 표준화 대역 지정에 힘을 받을 수 있다.채 교수는 “저주파로 갈수록 파장이 길어져서 렌즈 크기가 커져야 하는데 전파렌즈는 기존의 70㎓ 대역 렌즈보다 오히려 크기를 30% 이상 줄였다”면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5G 후보 대역에서 초소형 렌즈로 출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게 가장 큰 의의”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통신사나 장비업체가 아닌 학계와 중소기업 간 협력의 성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채 교수팀은 아이디어와 수학 분석 작업, 센서뷰는 하드웨어(HW) 개발을 각각 담당했다. 채 교수팀과 센서뷰는 2019년 5G 상용화 이후 전파렌즈도 보급될 것으로 내다봤다.

채 교수팀은 미래창조과학부의 정보통신기술(ICT) 명품 인재 양성 사업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과제의 일환으로 전파렌즈, 전이중통신 연구를 수행했다.

글로벌 제어계측 기업인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의 소프트웨어(SW)와 고주파용 송수신기를 사용했다.

Photo Image
국내 연구진과 중소기업이 5G 후보 주파수인 28GHz 대역 전파 출력을 10배 높이는 `전파렌즈`를 개발했다. 김병남 센서뷰 박사(왼쪽), 기반 장비를 제공한 내쇼날인스투루먼트이 이안 웡 박사(가운데), 채찬병 연세대 교수가 전파렌즈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채 교수는 “저주파로 갈수록 파장이 길어져서 렌즈 크기가 커져야 하는데 전파렌즈는 기존의 70㎓ 대역 렌즈보다 오히려 크기를 30% 이상 줄였다”면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5G 후보 대역에서 초소형 렌즈로 출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게 가장 큰 의의”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통신사나 장비업체가 아닌 학계와 중소기업 간 협력의 성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채 교수팀은 아이디어와 수학 분석 작업, 센서뷰는 하드웨어(HW) 개발을 각각 담당했다. 채 교수팀과 센서뷰는 2019년 5G 상용화 이후 전파렌즈도 보급될 것으로 내다봤다.

채 교수팀은 미래창조과학부의 정보통신기술(ICT) 명품 인재 양성 사업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과제의 일환으로 전파렌즈, 전이중통신 연구를 수행했다.

글로벌 제어계측 기업인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의 소프트웨어(SW)와 고주파용 송수신기를 사용했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