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타트업, IT와 동남아 현지 네트워크로 `공동 창업` 붐

스타트업 해외 창업의 새로운 격전지로 동남아시아가 부상했다.

한국에서 창업해 해외로 진출하는 방식이 아닌 현지에서 기회를 발굴, 바로 창업하는 방식이다.

과거 온라인 게임사 J2M을 창업해 EA에 성공적으로 매각했던 방경민 코드브릭 대표는 최근 태국과 인도네시아에서 두 번째 창업했다.

지난해 방 대표는 태국 현지인 친구로부터 신사업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방 대표는 태국에서 가업으로 자동차사업을 해왔던 지인과 머리를 맞댄 결과 기존 사업모델을 온라인 사업으로 확대했다. 프로그래머 출신인 방 대표도 처음에는 기술적 도움만 주려던 것에서 나아가 새 회사를 공동 창업했다.

그 결과 자동차 부품기업 아피코 하이테크와 신차·중고차 거래를 위한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를 만들었다. 오프라인 자동차판매사업자(딜러)를 온라인에서 한 번에 모아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다.

비슷한 시기 인도네시아에서도 요청을 받았다. 오토바이 택배사업을 자동화시스템으로 만들어보자는 제의였다. 방 대표가 창업, 매각, 투자유치까지 다양한 경험을 가진 것이 계기가 됐다.

물류배송 인프라가 잘 갖춰지지 않은 인도네시아에서는 오토바이 배달, 배송사업이 확대일로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전역에 체인점을 둔 외식 사업자 바크미 지엠도 시장 성장세를 눈여겨봤다.

Photo Image
동남아시아도 중국, 한국 못지 않게 스타트업 열풍이 거세다. 말레이시아에 기반을 둔 오토바이 O2O(온오프라인연계)기업 `그랩`<사진>과 인도네시아 `고젝`은 동남아시아 유니콘(10억 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를 가진 스타트업)으로 성장했다.

방 대표는 “태국이나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기업 중에 자본과 네트워크는 있지만 기술이 없는 곳이 많다”면서 “한국의 기술과 현지 경험이 서로 합쳐져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우리 기술과 동남아시아 현지 네트워크가 만난 사례는 또 있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중소기업 인사관리(HR) 소프트웨어 시장에 뛰어든 스타트업 스윙비다.

최서진 스윙비 대표는 안랩의 동남아시아 기술영업을 담당하다 기회를 포착했다. 한 달에 절반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를 누비는 출장에서 파트너회사로 출퇴근은 일상이었다.

현지 회사의 주먹구구식 인사관리 시스템을 보며 창업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직원 입사부터 휴가 및 성과 관리, 급여 지급 등 모든 절차를 자동화했다.

최 대표가 창업을 앞두고 가장 공을 들인 것이 인재 영입이다. 현지 말레이시아텔레콤 사업개발본부장을 지낸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을 삼고초려 끝에 공동 창업자로 영입했다.

사업 당시 50개 회원사는 현지인 공동창업자의 네트워크에서 출발했다. 입소문만으로 2개월 만에 회원사가 10배인 500개사로 늘어났다. 연말까지 1500개사 확보가 목표다.

최 대표는 “중국, 일본, 한국은 서로 문화나 역사, 언어도 너무 다르고 각각의 시장을 동시에 준비하거나 대응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며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는 서로 언어나 문화도 비슷한 점이 많아 함께 공략하면 더 장점이 많다”고 말했다.

최근 동남아시아 시장 창업 기업은 글로벌 기업도 무색하게 하는 양상이다. 오토바이 배송기사와 소비자를 연결한 인도네시아 `고젝`과 말레이시아 `그랩`은 글로벌 차량공유업체 `우버`를 제치고 현지 1위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전문가들은 동남아시아가 전자상거래와 물류배송 중심으로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을 휩쓸었던 창업 열풍과 전자상거래 물결이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인근 국가로 확산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Photo Image
인도네시아의 소득수준은 선진국 대비 낮아도 글로벌 서비스 관심과 이용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트위터를 하는 나라로 꼽힌다. 현지 쇼핑몰에 전시된 글로벌 SNS 이미지.

박상훈 와이드아시아 대표는 “동남아시아를 낙후된 시장으로만 이해하고, 이른바 `타임머신`전략으로 10년 전 한국에서 유행하던 것을 여기 와서도 유행할 것이라고 생각하면 실패한다”면서 “교통 인프라 등은 70~80년대 수준이지만 시장 트렌드는 글로벌 수준”이라고 제언했다.


김명희 기업/정책 전문기자 noprint@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