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재난·재해 상황에서 긴급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 공공서비스 활용 계획을 준비했지만 시행 1년이 지난 현재 표준화조차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해 12월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대책` 일환으로 재난 안전 분야에 디지털 사이니지 활용을 기획했다. 재난·재해 시 대피정보, 실종가족 찾기 등 위급상황 시 긴급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로 대중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을 갖춘 다는 게 주 내용이다.
재난안전 분야 디지털 사이니지 활용은 일례로 지하철 등 공공이용 시설의 화재발생 시 실내·외부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로 재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시민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미래부는 초기 계획으로 올해까지 디지털 사이니지 표준화 완료 후, 17년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개발, 18년 시험 사업 후 공공, 민간 적용 및 확대 등으로 19년까지 총 4개년 계획을 갖고 있었다. 올해 표준화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전반적 사업 모두 미뤄지게 됐다.
미래부 관계자는 “현재 표준화 단계는 초안만 마련된 상태”라면서 “재난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로 내보내는 시스템을 만드는 작업에서 예산확보 등을 협의 중에 있으며 사업이 중단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재난 안전 분야 전문가들은 재난 발생 시 알림 시스템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게다가 최근 경주에서 5.8 강진이 일어난 후 지난달 24일에는 기상청 관측 사상 처음으로 수원에서 2.3 지진이 발생하기도 해 재난 경보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다.
강희조 목원대 교수는 “재난사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게 알리는 조기 경보 시스템”이라면서 “공공 디스플레이 활용은 많은 사람들이 한 번에 볼 수 있는 재난 경보 시스템으로 좋은 경보체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하면서 향후 더 많은 실내, 외 디스플레이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사용되고 있는 분야도 기업의 홍보관을 넘어 지하철 내부, 공연장, 프랜차이츠 음식점 등 다양한 공중이용시설 안내 시스템으로 자리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2020년 770만대로 연평균 8%이상 성장이 예상된다. 국내 시장도 올해 2조원대에서 2020년에는 4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