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엄중한 경제를 뒷전에 둬선 안된다

성난 촛불민심이 서울 도심을 뒤덮었다. 지난 12일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3차 촛불집회에는 100만명(주최 측 추산)이 참석했다. 2008년 광우병 촛불집회 규모를 넘어서고 1987년 6월 항쟁 이후 가장 많은 인원이 모였다.

수많은 시민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대통령 퇴진을 외치는 분노를 표출한 시위였지만 외신들이 감탄할 정도로 평화롭게 진행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9일과 5일 두 번에 걸쳐 최순실 파문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했다. 하지만 민심을 외면한 사과는 분노를 잠재우는 대신 `100만 촛불`을 키웠다. 이번 집회를 기점으로 대통령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용서를 구하지 못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도 배제하기 어렵게 됐다.

우리 경제는 정치권을 포함해 민심이 박 대통령 퇴진에 몰두하는 사이에 `바람 앞 등불`이다. 국정 공백이 길어지면서 경제 사령탑은 `한 지붕 두 사람`이 동거하는 초유의 상황도 맞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5개월째 동결이다. 가계부채 부담에다 미국 대선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주요 무역제재 대상으로 중국을 정조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 대한 반덤핑 관세 등 조사 건수는 연평균 22건으로 급증 추세다. 보호무역주의를 주창한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퍼펙트 스톰의 그림자가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지금 우리 경제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여러 부정적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드리워져 성장 전망이 어두운 상태다. 트럼프 리스크는 기회가 될 수가 있다고 하지만 제대로 대응을 못하면 사치스러운 표현일 뿐이다. 현실을 직시하고 대책 마련을 서두를 때다.

이번 촛불 집회를 계기로 메시지는 분명해졌다. 박 대통령은 사태가 더 악화하기 전에 대한민국을 위해 결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국정 혼란 매듭을 푸는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치만큼 엄중한 경제를 뒷전에 두지 말고 리더십 공백을 하루빨리 메워야 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