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미 대선 누가 되든 `보호무역`은 피할 수 없다

미국 대통령 선거가 8일(이하 현지시간) 치러진다.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 가운데 누가 승자가 될지 예측이 어려운 초박빙 승부다.

초반 판세는 힐러리가 압도했다. 힐러리는 트럼프의 막말과 섹스 스캔들 등으로 줄곧 앞서 나갔다. 한때 두 자릿수 지지율 격차로 `대세론`이 고착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건강 문제와 이메일 스캔들이 터지면서 힐러리의 지지율은 미끄럼 타며 역전을 허용하기도 했다.

7일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힐러리 후보의 이메일 스캔들 재수사를 사실상 무혐의로 종결했다. 판세는 다시 초박빙으로 바뀌었다.

우리 산업계는 좌불안석이다. 힐러리와 트럼프 모두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유세 기간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검토,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10배 충격,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등을 천명했다. 힐러리 역시 불공정 무역 관행 등을 비판하는 등 보호무역주의로 선회했다. 누가 되든 통상 압박은 불가피한 일이다.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는 미국 대선 결과가 민감한 이슈다. 우리 수출의 미국 비중은 13.3%로, 중국(25%)에 이어 두 번째다. 우리 주력산업의 수출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충격이 클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중국도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있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미국은 수입 규제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 9월엔 한국산 냉연강판에 반덤핑 관세 판정을 내렸다. 앞으로 경쟁 품목에 자국 산업 보호 명분으로 비관세 장벽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보호무역 장벽을 높이면 세계 무역질서의 지각 변동은 뻔하다. 나라 간 교역이 위축, 세계 경제 침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가뜩이나 수출이 줄고 있는 우리나라는 주도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

지금 우리나라는 `최순실 블랙홀`에 휘말려 경제팀이 `한 지붕 두 사령탑`이라는 초유의 경험을 겪고 있다. 미·중 보호무역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크나큰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경제 시스템의 정상 가동을 서두를 때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