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소비자 정보 제공, 국민 눈높이에 맞게 발전돼야

Photo Image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

올해 초에 발표된 어느 외국 여론조사 기관의 조사 결과 지난해 우리나라 스마트폰과 인터넷 보급률이 각각 88%, 94%로 조사 대상 40개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모바일·온라인 문화의 기반이 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높은 보급률은 국민의 정보 접근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보 홍수 속에서 포털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편향 및 파편화된 정보가 범람한다면 정보 접근성 향상이 삶에 대한 만족으로 이어지기 어렵다.

일상 소비 생활도 마찬가지다. 사업자에 의해 공개되는 정보가 광고성 정보에 한정되고 소비자 구매 후기조차 사업자에 의해 조작된다면 정보 접근성이 높아져도 시장의 소비자와 사업자 간 정보 비대칭성을 시정하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소비자 구매 선택에 필요한 상품 품질과 가격의 신뢰할 수 있는 객관화된 정보를 생산해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12년 한국형 컨슈머 리포트 `비교 공감`을 비롯해 가격·리콜 정보, 소비자 피해 주의보, 위해 정보 등 상품을 구매하고 이용할 때 필요한 정보를 종합 제공하는 소비자 정보 포털 `스마트 컨슈머`를 구축했다. 2013년에는 스마트 컨슈머 모바일 홈페이지와 전용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보급하는 등 소비자에게 구매 선택에 필요한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만으로는 부족하고 국민 개개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일대일 맞춤형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가고 있다.

`관심의 경제학(The Attention Economy)` 저자 토머스 데이븐포트 뱁슨대 교수도 “정보가 홍수를 이루는 현대 사회에서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메시지가 개인 기호에 맞는 정보를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핵심 가치로 추진하는 `정부3.0`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공급자 입장에서 전체 국민에게 일방으로 제공하던 공공 서비스를 수요자인 국민 관점에서 재설계 및 통합, 개개인의 필요와 욕구에 맞게 맞춤형으로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공정위가 지난 1월부터 의욕을 보이며 추진하고 있는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도 스마트컨슈머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 서비스를 통한 소비자 권익 증진에 중점을 뒀다.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은 여러 공공·민간 기관이 보유한 1000만건 이상의 상품 및 안전 정보를 종합·가공, 개인별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한국소비자원 등 각종 피해 구제 기관에 접수되는 연간 수백만 건의 상담, 피해구제·분쟁조정 신청 등을 통합 담당하는 창구를 마련하는 시스템이다.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스마트폰으로 내려받은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 앱에서 관심 있는 상품의 바코드를 찍으면 해당 상품의 리콜 정보, 안전·품질 인증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상품 구매 후에도 해당 상품에 안전 문제가 발생하면 `자동알림메시지`를 통해 모바일 앱에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앱을 통해 신속하게 피해 구제 신청 기관을 파악해 피해 구제 신청을 할 수 있고, 결과도 스마트폰에서 곧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올해 말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이 정식 가동된다. 구매 전의 맞춤형 정보 제공부터 물품 사용으로 인한 피해 구제까지 국민 개개인의 소비 생활 전 단계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귀를 기울이면 마음을 얻는다`는 `이청득심(以聽得心)`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의 구축은 국민 개개인이 원하는 바에 귀 기울이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 국민들의 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는 앞으로도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구현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다.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 jcj21@korea.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