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국내 단기 소비진작, 후유증 우려된다.

3분기 내수 가전유통 시장이 12%에 이르는 고성장을 기록했다. 무더위로 에어컨 매출이 늘었고,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가전 환급 정책 효과가 맞물렸다.

내수 가전유통 시장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한 것은 2013년 4분기 이후 처음이다. 코리아세일페스타를 시작으로 연말 세일이 집중되는 4분기에도 실적 상승이 기대된다.

모처럼 들리는 내수 가전유통 시장의 실적 호전이 반갑기도 하지만 우려 역시 지울 수 없다. 지난 6월 말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 종료 이후 국산 완성차 판매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올 상반기에 10% 이상 성장하던 내수 시장이 3분기에만 11.4% 축소됐다.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대부분 업체가 이미 신차 출시를 마친 상황이기 때문에 이런 부진은 연말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현대·기아차, 한국지엠, 르노삼성차, 쌍용차 등 국산차 5개사 모두 3분기 내수 판매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줄었다. 지난 2~6월 5개월 동안 실시한 개인소비세 인하 정책이 종료된 이후 이른바 `판매절벽`에 직면했다. 내수 진작을 위해 하반기 수요를 앞당겨 썼기 때문이다. 정확히 는 만큼 줄었다. 결국 상반기 자동차 판매 증가는 신규 수요를 창출이 아닌 하반기 수요를 앞당겨 쓴 효과인 셈이다.

가전 판매 역시 다양한 기저 효과를 가져 온 원인 이외에도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가전 환급 정책이 크게 작용했다. 4분기 코리아세일페스타 효과도 마찬가지다.

소비 진작 정책은 자동차 사례처럼 주변 수요를 빨아들이는 블랙홀 같은 효과도 있다.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임시방편은 되겠지만 근본 해결책은 아니다. 구조 문제 해결 없이는 불황의 골만 더 깊게 만들 수도 있다.

다행은 가전 부문의 실적 호전이 프리미엄 가전제품 인기 같은 기업 혁신 결과도 일부 반영됐다는 점이다. 하지만 언제까지 기업의 선전에만 기댈 수는 없다.

단기 처방도 필요하지만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정부의 근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물론 다양한 국내외 위기 상황과 맞물려 해답을 찾기 어렵다는 점은 이해한다. 어렵기 때문에 기업과 국민이 정부에 기대는 것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