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윤동민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지역본부장

“G밸리는 나름대로 구조 고도화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지만 정보기술(IT) 벤처 단지로 급격히 전환하면서 계획한 변화를 이뤄 내지 못한 아쉬움이 남습니다.”

Photo Image

윤동민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지역본부장은 G밸리가 균형 있게 발전하지 못했다는 데 공감했다. 교통난이나 문화시설 부족은 해결해야 할 숙제다.

윤 본부장은 그러나 국가산업단지에 따른 비용 절감과 서울 지역 내 입지 등 장점이 훼손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G밸리는 내부 도로가 좁아 통행에 불편하지만 김포공항과 서해안 고속도로가 인접해 있다. 남부순환도로와 서부간선도로도 감싸고 있다. 국철 1호선과 지하철 2호선, 도시철도 7호선 등 3개 전철역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산업단지에서는 누릴 수 없는 혜택이다.

윤 본부장은 “G밸리가 지닌 비교 우위는 바로 집적화된 1만여 기업”이라면서 “도심 산업단지 안에 경쟁과 협업이 가능한 기업이 모여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소개했다.

1만여 기업 가운데 92%는 15명 미만 기업인 점도 G밸리가 창업벤처 성장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증거다. G밸리에서의 성장 및 성공 사례 창출 지속에 G밸리 미래가 달려 있다고 윤 본부장은 강조했다.

윤 본부장은 “미국 실리콘밸리와 같이 세계 수준의 IT벤처클러스터는 대부분 `다산다사(多産多死)` 창업 기업 성장의 생태계를 이룬다”면서 “중소기업이 성장하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주어진 기업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는 능력에 있다”고 역설했다.

G밸리를 지금보다 더 일하기 좋은 공간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기업인과 근로자, 지방자치단체, 지원 기관 등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윤 본부장은 말했다.

윤 본부장이 밝힌 G밸리 중장기 비전은 `한국형 창조산업의 글로벌 거점`이다. 창조경제 시대에 부합하는 국가산업단지 혁신 모델 구축을 목표로 세우고 다양한 전략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전략 과제로는 △IT·소프트웨어(SW) 산업 혁신·융합 기반 강화 △도심 복합형 산업단지 조성 △수요자 중심 혁신 체계 구축이다. 중소기업 간 네트워크 강화, 해외 진출 지원 등 기업 경쟁력 강화를 돕는 한편 교통 환경 개선, 지원 시설 확충 등 도심복합형 산업단지로의 재편도 병행할 계획이다.

윤 본부장은 “산단공은 입주 기업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으로, 입주 기업이 만족할 때까지 소통하고 돕는 게 본연의 업무”라면서 “앞으로 항상 소통하면서 입주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산업단지 환경 구축과 지원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유창선 성장기업부(구로/성수/인천) 기자 yuda@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