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34주년 특집-4차산업혁명 현장을 가다<3>]두 마리 토끼 잡는 `헬스케어`

30년 후 우리나라 국민 평균 수명은 몇 살일까.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표한 `2045년 미래사회@인터넷`에 따르면 2045년 한국인 평균 수명은 120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인공장기와 초정밀 진단기술, 혁신 신약 개발 등으로 평균 수명이 늘어난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병도 사라진다.

Photo Image
한국인 평균수명 추이

1970년 61.9세이던 한국인 평균 수명은 2013년 81.9세로 40년 사이 20세 늘었다. 앞으로 30년 후면 지금보다 40년 더 오래 살 것으로 보인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는 것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의약품 개발 기술 발전이 큰 역할을 한다. 암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표적·면역 항암제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알츠하이머 등 고령화에 따른 질병도 치료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희소·만성 질환 역시 신약 후보물질 발굴과 줄기세포, 유전자 치료제 개발이 속도를 내는 등 완치 희망을 이어 간다.

의약품 개발 기술을 축적해 온 국내 기업도 결실을 맺을 준비를 하고 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개발로 글로벌 진출에 성공한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등은 이제 항암제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기술 축적과 블록버스터급 항암제 특허 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시장 진출 채비에 집중한다.

Photo Image
셀트리온 제1공장

셀트리온은 지난해 10월 유럽의약품청(EMA)에 혈액암 치료제 리툭산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 품목 허가를 신청했다. 이르면 연내 허가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유방암 치료제 허센틴 역시 국내에서는 `허쥬마`라는 이름으로 허가받았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달 중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SB3` 유럽 허가를 신청한다. 허셉틴 세계 시장은 68억달러(약 7조5200억원)에 이른다. 2014년 특허가 만료되며, 글로벌 의약품 개발 업체가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뛰어들었다. 유방암뿐만 아니라 위암 등 추가 적응증에 대해서도 효능을 입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대장암 치료제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개발도 순항하고 있다.

Photo Image
한미약품 본사 전경

제약 업계도 `암 정복`에 한창이다. 한미약품은 비소세포폐암치료제를 독일과 중국에 기술 이전한 데 이어 국내 최초로 제품화까지 했다. 녹십자는 대장암을 적응증으로 하는 3세대 표적항암제(EGFR 저해제) 후보물질 전 임상 결과를 국제학회지에 게재했다. 유한양행은 올 7월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YH25448`을 중국에 1억2000만달러에 기술 이전했다. JW중외제약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고형암을 적응증으로 하는 `CWP291` 임상 초기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신장암, 간암, 교포세포종 파이프라인도 확보했다. 최근 대화제약은 세계 최초로 전이성 및 국소 재발성 위암 환자를 위한 마시는 항암제 국내 허가도 획득했다.

치료제 개발이 가시화될수록 국민 건강과 삶의 질 수준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도 막대하다. 제약 및 바이오 기술에 기반한 헬스케어산업은 국민 건강과 국가 경제 수준을 높이는 유일한 산업이기 때문이다.

Photo Image
보간산업-한국 3대 주력 수출산업 규모 비교

의약품, 의료기기를 합친 세계 보건 산업 시장의 규모는 2014년 기준 1조4000억달러(1548조4000억원)로 집계된다. 10년 후에는 2조6100억달러(2886조66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 3대 수출산업(반도체, 화학제품, 자동차) 세계 시장(2024년 기준 2조5900억 달러)보다 더 크다.

정부도 국민건강 증진과 보건 산업 육성을 위해 최근 국가 최초로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지난해 9조원 규모인 보건산업 수출을 2020년까지 20조원으로, 76만명인 일자리를 94만명까지 늘린다.

희소·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맞춤형 건강 관리를 실현한다.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분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혁신 제품 개발을 지원한다. 태동기 정밀 및 재생의료, ICT 기반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선진국과 격차를 줄일 제도를 마련한다. 기업, 병원, 연구소가 참여하는 보건산업 생태계 구축도 본격화된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