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물류대란에 따른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 해야

한진해운 법정관리에 따른 물류 대란 사태가 점입가경이다. 구조조정 얘기가 나온 지 오래됐지만 정부와 한진해운의 대처 능력은 낙제점이다. 부작용과 후유증도 예견됐지만 준비는 부족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 각 나라의 주요 항구에서 국적선사 한진해운 컨테이너선의 입항 및 출항이 거부당하고 있다. 5일 기준 61척이던 비정상 운항 선박은 하루 만에 87척으로 늘었다. 수입통관이 완료된 화물조차도 육상운송 업체들이 운송비 미지급을 이유로 육로 운송 자체를 거부하는 상황이다. 해외 소비자 손에 인도돼야 할 수출품이 항구에 묶여 있는 것이다. 현재 한진해운에 선적한 화주는 8300여개다. 한진해운이 선주 등에 지급하지 못한 대금은 총 6100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러다 보니 수출 기업 피해는 현실화됐다. 불과 하루 사이 수출입 피해를 호소하는 기업이 3배 이상 증가했다. 6일 오후 2시 기준 한국무역협회에 접수된 피해신고 사례만도 119건이다. 며칠 새 수백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그나마 대기업의 상황은 나은 편이다.

중소기업은 대응책이 없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운항 차질에 따라 납기 지연 등 고객사와의 약속을 지키기 힘든 상황이다. 중소기업 물량을 주로 담당하는 포워딩업체의 연쇄 도산도 우려된다.

Photo Image

정부와 채권단의 안일한 대응을 탓하고 있기에는 상황이 긴박하다. 지금은 비상 상황이다. 국가 경제를 감안, 신속하게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나마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6일 사재 출연 400억원을 포함해 1000억원을 내놓기로 결정했다. 금융위원회도 한진해운 협력업체에 3000억원의 긴급경영안정자금과 특례 보증을 제공하기로 했다.

한진해운 사태는 분명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에 악재다. 특히 협상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들은 예기치 못한 변수로 큰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 대책이 마련돼야 할 때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