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시작부터 우리 경제에 이상 신호가 켜졌다. 생산, 소비, 투자 등 3대 산업 지표가 모두 주저앉았기 때문이다. 3대 산업 지표가 모두 하락한 것은 올해 1월 이후 여섯 달 만이다. 하반기 경기 하강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업 생산은 석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소비는 22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보였다. 설비투자도 2003년 1월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전체 산업생산의 감소세 전환은 경기를 뒷받침하던 서비스업 생산이 6개월 만에 줄어든 영향이 크다. 광공업 생산이 6월보다 소폭 늘었지만 이마저도 수출 부진에 발목을 잡히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소비 분야다.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등 정책 효과가 사라지자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급감했다. 소비절벽이 염려되는 대목이다.
하반기 경기 침체는 예고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올 하반기 경제 전망에 따르면 올해 경기는 상고하저(上高下低)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문제는 예상보다 경기 악화가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국회에서의 추가경정예산 통과가 늦어지고 김영란법 시행 등 악재가 곳곳에 잠복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미국의 금리 인상도 코앞에 닥친 상황이어서 앞으로 하반기의 우리 경제 불확실성은 더욱 커진 셈이다.
저성장 터널 앞에 선 우리 경제는 위기다. 8월 수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소폭 늘어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되지만 뚜렷하게 호전된다고 보기엔 무리가 따른다. 4분기 수출 회복 가능성도 아직 유효하다. 그러나 보호무역주의 확대 등이 수출에 부담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6월 경기부진 선제 대응으로 기준금리를 내렸다. 기업 구조조정 후폭풍을 대비한 판단이다. 가계는 지갑을 닫고 기업은 투자를 꺼리는 상황도 염두에 둔 것이다. 그렇지만 시장에 풀린 돈은 부동산에 몰려 정책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구조조정은 제대로 시작도 안했는데 경기는 바닥에서 헤매고 있으니 우리 경제는 암울한 상황이다. 수출의 급반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면 소비와 투자를 늘려 경기 회복의 불씨를 살려야 한다. 그 어느 때보다 정부의 세밀한 정책 대응이 요구된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단상]데이터 시대의 전략적 선택, 엣지 AI
-
2
[ET시론] 2025년을 준비하는 로봇 산업
-
3
[ET대학포럼] 〈202〉저성장 한국 제조업, 홍익인간에서 길을 찾다
-
4
[ET톡] 경계해야 할 중국 반도체 장비 자립
-
5
[사설]국회 '반도체 특별법' 논의 속도 내야
-
6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1〉CES 2025가 보여 줄 'AI 비즈니스 혁신' 3가지
-
7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65〉일자리 문제는 시간 싸움
-
8
[GEF 스타트업 이야기] 〈54〉한 없이 절망 했고, 한 없이 기뻤다
-
9
[인사] 신한카드
-
10
[사설] 트럼프 2기 산업 대비책 힘 모아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