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 동물이 정상적으로 나이를 먹고 건강도 유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준희 국립경상대 축산생명학과 교수와 최인철 충남대 교수, 영국 노팅엄대 연구진으로 구성된 국제공동연구팀(이하 국제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6일자(영국 현지 시각)에 발표했다.
올해로 세계 최초의 복제양 `돌리(Dolly)`가 태어난 지 20년이 됐다.
당시 영국에서 다 자란 양의 세포를 채취해 복제양을 만들었다는 발표는 세계 과학계를 충격에 빠트렸다.
돌리는 세계적인 관심과 축복 속에 태어났지만 생활은 평탄치 않았다. 어려서부터 관절염과 비만에 시달렸고, 결국 폐질환으로 2003년에 6년 남짓의 짧은 생을 마쳤다.
과학계에서는 돌리 같은 복제동물은 일반동물보다 건강하지 못하다거나 빨리 늙는다는 등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국제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복제동물도 정상적으로 나이를 먹고 건강을 유지한다는 결론을 제시했다. 열세마리의 체세포 복제양을 대상으로 10년간 연구를 진행한 결과다.
연구팀은 열세마리 중 네마리는 돌리를 만들 때 쓴 `젖샘세포`를 이용해 복제했다. 또 다른 `돌리`인 셈이다.
연구팀은 복제양이 7~9세쯤 됐을 때 돌리처럼 관절염을 앓는지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해 확인했다. 그 결과 열세마리 중 한마리만 골관절염 증상을 보였다. 이외 대부분은 정상적으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체지방률과 인슐린 저항성을 검사한 결과, 비만 등 대사질환이 없다는 것도 밝혔다. 혈압을 24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도 모두 정상 수치였다.
이준희 교수는 “이번 연구처럼 10년간 복제동물의 건강상태를 추적해 검사한 경우는 흔치 않다”며 “여러 관점에서 복제동물의 건강 상태에 의문이 있을 수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 양들이 오랫동안 건강을 유지하는 것을 보았을 때 (복제 과정에서)완벽한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 주역인 이준희, 최인철 교수는 `돌리`를 복제한 키스 캠벨 노팅엄대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학위를 받고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진주=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