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도 못내는 한계기업 3278곳...특히 해운·조선·철강업서 급증

Photo Image
한계기업 수익성(자료-한국은행)

영업이익으로 대출이자도 갚지 못하는 어려운 한계기업이 3000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구조조정 업종으로 꼽히는 해운·조선·철강업을 중심으로 계속 늘고 있다.

30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은 지난해 말 3278개로 2014년 말(3239개)보다 39개 늘었다고 밝혔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수치)이 3년 연속 100%를 밑도는 기업을 말한다. 즉 영업이익으로 이장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의미다.

전체 외부대상 기업 가운데 한계기업 비중도 2014년 말 14.3%에서 작년 말 14.7%로 높아졌다.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 한계기업 비율은 13.7%로 지난해와 비슷했으나 중소기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14.4%에서 15.0%로 0.6%P 상승했다.

Photo Image
주요업종별 부채비율 (자료-한국은행)

업종별로 자동차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한계기업 비중이 증가했다. 특히 조선, 해운, 철강 등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취약업종에서 한계기업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해운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해 말 18.6%로 2010년과 비교해 5년 만에 9.8%P 올랐다.

조선업과 철강업도 한계기업 비중이 각각 14.7%, 12.3%로 2010년보다 8.5%P, 7.7%P 각각 상승했다.

한계기업의 매출영업이익률은 마이너스(-)6%정도로 만성적인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기업도 전체 50.8%였다.

한계기업 중 부채비율이 300% 이상인 기업의 비중은 지난해 말 32.4%로 높아졌고, 완전자본잠식 기업은 31.9%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 기준 한계기업에 대한 은행의 신용공여액은 118조6000억원에 달했다. 이중 특수은행이 73조2000억원으로 61.7%를 차지했고 일반은행은 45조4000억원을 보유했다.

5대 취약 업종(조선·해운·건설·철강·석유화학)에 대한 신용공여는 70조3000억원이었다. 이 중 특수은행이 51조2000억원으로 일반은행(19조1000억원)보다 2.7배나 됐다.

한은은 “한계기업은 수익창출능력 약화로 영업환경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재무구조의 안정성이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며 “저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인해 만성적 한계기업들의 퇴출이 지연되지 않도록 상시적 기업 구조조정 추진을 위해 채권 금융기관들이 적극적인 여신관리 노력을 기울여야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혜 금융산업/금융IT 기자 jihy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