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전력기자재 90% 중국에 의존…“전력기술·인적교류 서둘러야”

Photo Image

북한의 대중국 전력 기자재 의존율이 90%에 육박하면서 민간 차원에서라도 남북간 전력기술·인적 교류 협력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에 시급히 필요한 전력 대북사업으로는 △발전소 유지보수·기술 지원 △남북 전기 용어 표준화 △태양광·발전기 등 전기기자재 공급이 꼽혔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가 21일 서울 방배동 전기진흥회관에서 개최한 제1차 `전기산업 통일연구 협의회`에서 오재석 LS산전 상무는 “민간분야 대응이 더 이상 늦어지면 중국에 북한 전력시장을 완전히 내줄 수 있다”며 “정치적 이슈로 단절된 전력분야 교류를 재개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 상무가 발표한 `수배전 관점 북한 전력 실태와 대응 방안`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전력 기자재 대금은 총 1억1532만달러로 국가 총수입 3.9%에 달했다. 전력 기자재 수입 9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배전반 등 일부 기기는 전량 중국 무역상을 통해 공급됐다. 단둥 전력설비제조창, 센양 천통전력 등 20여개 중국 배전반 업체가 이미 북한시장을 장악했다. 배전반 내부 기기도 대다수 델리시(DELIXI), 친트 등 중국 기업이 생산했다.

오 상무는 “정부 대북 제재 조치 이후 북한 전력시장은 중국에 의한 완전 지배된 상태”라며 “향후 전력 분야 투자가 확대되더라도 현 상태라면 한국 기업이 참여해 수익을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남한 전력 제조사가 컨소시엄을 통한 공동 대응에 나서고 한국 표준과 동일한 북한 전력기술표준을 제정해 진입장벽을 구축해야 한다”며 “(향후) 남북 대화시 전력분야 협력을 핵심 의제 반영하기 위해 우리 정부와 민간기업이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기진흥회는 탈북주민 100명을 대상으로 벌인 북한 전기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우선 추진해야할 전력 대북사업은 △발전소 유지보수 및 기술지원 △남북 전기 용어 표준화 △태양광·발전기 등 전기기자재 공급 △전압계·설비 표준화 △개성공단 전력지원 시범사업 등이 꼽혔다. 북한 1970년대와 2000년대 전력 상황을 비교한 질문엔 설문자 전원이 `더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전기가 부족할 때 추가적으로 전력을 얻는 방법으로는 변압기(39.0%), 배터리(26.6%)를 사용한다는 대답이 주를 이뤘고 전기를 도둑질한다(도전)는 응답도 16.2%나 됐다.

문승일 전기산업통일연구협의회장은 “개성공단이 폐쇄되고 남북관계가 경색됐지만 민관이 전력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면 충분히 우리 기업 진출 공간이 존재할 것”이라며 “향후 남북 대화에서도 전력 등 인프라 분야 협력 논의가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최호 전기전력 전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