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양 위기, 수주·판로·인력 3개축으로 넘자"

Photo Image
해양플랜트 이미지(게티 이미지 뱅크)

정부 차원의 신규 선박 발주, 조선해양 기자재 판로 다각화, 고급 엔지니어링 인력 양성이 조선해양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선제적 대응 방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부산, 울산, 경남 3개 지자체와 지역 조선해양(기자재)업계, 상공회의소와 대학 등 유관 기관은 이 같은 대응 방안을 집약해 정부에 건의하고 실천에 나섰다.

`정부 차원의 신규 건조(신조)`는 중대형 조선사 수주·건조량 감소로 인한 일감 부족을 급한대로 메울 수 있는 처방이다.

정부는 지난 4월 10척에 12억달러 규모 신조 프로그램을 발표했지만 산업계와 지자체 요구 수준과는 격차가 크다.

부산상의 등 지역 상공계와 동남권 3개 지자체는 조선 일감 확보는 물론 해운사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정부 주도 아래 대형선 기준 42척에 50억달러 규모의 신조를 요구하고 있다. 최대 100척 규모의 신조를 추진해야 2~4년 뒤 고유가 및 조선해양산업 회복기까지 버틸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신조 지원 50억달러를 투입해 군함과 노후 관공선, 여객선, 크루즈선 등을 조기 발주하면 조선과 해운업 모두 상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조선해양 기자재 판로 다각화`는 대형 조선사에 의지해 온 지역 기자재·부품 생산 중소기업의 생존을 위한 방안이다.

Photo Image
선박(게티 이미지)

조선해양 기자재·부품 기업이 밀집한 동남권은 조선해양산업 침체와 구조조정 여파로 지역 경제 전반에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는 상황이다. 울산은 현대중공업, 경남은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STX조선해양, 부산은 한진중공업이라는 대형 조선해양업체를 안고 있다.

3개 지자체와 기자재업계는 국내 대형 조선소에 의지한 내수 중심의 판로가 결국 업계 불황기에 다시금 위기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오는 9일 창원에서 열리는 `2016 동남권 공동 조선·해양플랜트 기자재 수출상담회`는 동남권 조선기자재 중소기업의 판로 다변화에 초점을 맞춘 사업이다. 2011년부터 시작했지만 올 해는 여느 해와 다르다.

3개 지자체는 일본 등 7개국 대형 조선소 및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사 구매 담당자 33명을 초청, 지역 기자재 중소기업 93개사와 1대1 구매 상담을 진행한다. 또 고품질 조선·해양기자재를 발전산업과 청정공기산업, 항공부품산업 등에 적용하는 응용 확산 사업도 추진한다.

`고급 엔지니어링 인력 양성`은 조선해양산업 고부가 경쟁력 강화 방안이다.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대형 조선사의 막대한 손실은 외형상 수주 부진이지만 실제는 고부가가치 영역인 기본설계(FEED)기술 부족에 따른 납기 지연에서 비롯됐기 사실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Photo Image
해양플랜트 고급기술 연구기반 구축사업 3각 협력 체계도

최근 부산에 해양플랜트엔지니어링사업단(ATEC)이 설치됐다.

ATEC는 산업부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부산시가 국비와 시비, 민자 500억원을 투입해 구축하는 비즈니스 창출형 해양플랜트 육성 인프라다. 글로벌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연구기반을 국내에 구축해 해외 엔지니어링 기업과 국내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및 연구기관 간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조효제 한국해양대 교수는 “신조 지원과 기자재 판로 다각화, 엔지니어링 기술인력 확보는 조선해양 위기 극복의 필수 조건”이라며 “조선해양산업 침체는 국가 위기이자 지역 산업 생태계 파괴를 불러오는 시발점이기에 정부와 지자체 선제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조선해양 위기, 수주·판로·인력 3개축으로 넘자"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