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리 경제, 대내외 변수 넘치는 6월이 고비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우리 경제 전반이 다소 위축됐다”고 진단했다.

KDI는 7일 `6월 경제동향`을 통해 “최근 우리 경기는 수출감소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광공업 생산과 출하가 조업일수 감소 등으로 부진이 심화됐다”고 밝혔다. 이는 “일부 지표가 다소 개선됐으나 우리 경제 전반의 성장세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는 지난달 분석보다 어두운 평가다.

수출은 감소폭이 축소됐지만 대외 경기 부진과 교역량 정체로 인해 여건이 빠르게 개선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최저치로 떨어진 제조업 가동률 등 설비투자 부진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게 KDI의 분석이다.

6월 우리 경제 앞에는 여러 난제가 놓여 있다. 부실기업 구조조정에 대외로 미국의 금리 인상과 영국의 유럽연합(EU) 이탈(브렉시트)이 큰 변수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고용시장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고용지표 부진으로 인해 가능성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힘입어 코스피 지수는 한달 만에 2000선을 돌파했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마음을 놓기 어려운 상황이다. 23일 국민투표를 앞두고 있는 영국의 브렉시트도 마찬가지다. 미국의 금리 인상과 브렉시트는 우리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안으로 우리 경제의 최대 현안은 뭐니뭐니해도 부실기업 구조조정이다. 구조조정을 지휘하는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지적이 잇따라 나오는 상황이어서 이달 말로 예정된, 정부의 제대로 된 대책이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이 밖에도 9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어떤 시그널이 나올지가 관심이다. 시한을 넘긴 `원 구성`으로 협치가 실종된 20대 국회, 영남권 신공항과 성과연봉제 등 갈등 해결도 시급한 과제다.

저성장의 문턱을 넘어선 우리 경제는 6월이 고비다. 안팎으로 도사리고 있는 여러 변수와 맞닥뜨려야 한다. 경제 관련 지표도 부진해 빠른 회복이 어려운 상태다. 기업 등 경제 주체의 분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청와대와 정부의 `공감 리더십`일 것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