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계통신비 인하 목적으로 추진한 알뜰폰이 고전하고 있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과 맞물려 `반짝 흥행`에 성공했지만 뒷심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7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한 알뜰폰이 올해 들어와 여전히 10% 언저리에 머물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알뜰폰 점유율은 1월 10.2%, 2월 10.4%, 3월과 4월 모두 10.5%로 사실상 평행선을 그렸다. 가입자 수도 올해 1월 604만여명, 2월 614만여명, 3월 625만여명, 4월 628만여명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별반 차이가 없다.
사업이 주춤한 배경으로는 여러 이유를 꼽을 수 있다. 먼저 싼 가격에 익숙해진 소비자가 점차 서비스 질을 요구하면서 성장이 멈칫 할 수 있다. 업체가 영세하기 때문에 서비스가 부실하고 음원·동영상 할인과 결합상품 등 부가 혜택이 적은 것도 걸림돌이다.
그렇다고 모든 책임을 알뜰폰 업체로 돌리는 것은 무리수다. 알뜰폰은 기간통신사 회선을 빌려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정통신 서비스다. 그만큼 부가통신 사업자에 비해 위상도 약하고 서비스 범위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통 3사의 적극 지지와 도움 없이는 생존 자체도 보장할 수 없는 게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럼에도 알뜰폰이 선전한 데에는 정부의 관심이 컸다. 정부가 일정 수준 이상 궤도에 오른 것으로 판단하고 그동안 쏟아 온 정책 배려를 거둔다면 대표 전시행정으로 전락할 수 있다. 제4 이동통신이 사실상 물 건너 간 상황에서 그나마 가계통신비 절감을 위해 남은 정책은 알뜰폰뿐이다. 정부는 알뜰폰 육성이라는 슬로건 차원의 정책에서 한발 더 나아가야 한다. 도매 대가, 전용폰, 전파사용료, 통신 3사 상생 방안 등 좀 더 명확한 세부 정책안을 내놓아야 한다. 그래야 알뜰폰도 확실하게 연착륙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