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중국 원전, 방사선 영향 해법 찾는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유출된 방사성 물질들이 대기를 떠돌며 동쪽으로 계속 이동했다. 편서풍의 영향에 동쪽으로 향했던 방사성 물질은 미국을 지나 유럽을 거쳐 지구 한 바퀴를 돌았고 우리나라는 일본 바로 옆에 있었음에도 가장 영향을 덜 받았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변했다. 중국이 세계에가 가장 적극적으로 원전 산업을 키우는 국가로 부상하면서 유사시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방사성 물질의 영향을 걱정하는 처지가 됐다. 이미 중국발 황사와 미세먼지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방사성 물질의 유입은 불 보듯 뻔하다.

그동안 우려됐던 중국발 방사선 물질 유입에 대한 한-중 양국 간 대응체계 마련이 시작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소속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지난달 중국 방사선감시기술센터와 2013년과 2014년도 양국 현지 환경방사선 현황 정보를 교환했다고 밝혔다. 이어 9월에는 환경방사능 감시분야 협력회의를 통해 2015년도 자료를 교환할 계획이다.

Photo Image

이번 환경방사선 자료 공유는 일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 다수의 원전이 지어져 있는 동북아시아 지역 원자력 안전체계 협력과 환경방사선 정보 공유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진행됐다. 그동안 한중일 3국은 고위급규제자협의회(TRM)을 통해 △온라인정보교류시스템 △인적자원개발/교육훈련 △비상대응능력제고의 3개 워킹그룹 구성을 합의하는 등 원자력·방사선 사고 관련 공조체계 구축을 노력해왔다.

이번에 중국과 교환한 환경방사선 현황 자료는 그동안 중국 정부가 공개하지 않던 것들이다. 우리나라는 원자력안전기술원이 15분 간격으로, 일본은 원자력규제청이 1시간 간격(후쿠시마 10분 단위)의 환경방사선 모니터링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관련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별도의 협조 요청이 필요했던 상황. 최근에서야 국가핵안전국이 12시간 간격으로 환경방사선 계측망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이에 원안위는 지난해 11월 중국 국가핵안전국과 환경방사선 모니터링에 관한 특별협약을 체결했다. 특별협약은 향후 3년간 환경방사선 분석기술 교류와 감시자료 교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지금까지는 협약을 통해 앞으로 공동 대응체제를 위한 의지를 확인해왔다면 이번 자료 교환은 협력이 실질적인 행동단계에 들어섰다는 데 의미가 있다. 원자력안전기술원은 9월 예정된 환경방사능 감시분야 협력회의에서 향후 자료교환 방법에 대한 추가협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Photo Image
중국 원전 현황자료: 중국 국가핵안전국파란색-원전 시설 본주노란색- 원전 가동반 노란색-원전 건설중

한편, 세계원자력협회에 따르면 현재 중국은 32개의 원전을 운영 중이며, 22개의 원전이 건설 중이다. 이중 다수가 우리나라에 인접한 동부 해안에 자리 잡고 있다.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이후 잠시 중단했던 신규 원전 프로젝트 승인도 지난해부터 다시 시작하고 있다.

원안위 관계자는 “양국 간 환경방사선 정보교류 이후 최근에서야 중국도 12시간 간격의 계측자료를 공개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관련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