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공기업 혁신 넘어 진화로]<4>원전해체 산업화 새도전 나선 `한수원`

1978년 상업 가동에 들어간 우리나라 첫 원전 고리1호기 영구정지가 1년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해 6월 국가에너지위원회 권고에 따라 정부는 내년 6월 고리1호기 스위치를 내리기로 최종 결정했다. 우리나라 첫 원전 타이틀에 이어 첫 폐로라는 큰 도전을 앞뒀다.

Photo Image

산업통상자원부는 고리 1호기 해체 경험을 살려 원전 해체기술을 수출산업화하겠다는 방향까지 잡아놓았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그간 축적된 원전 건설과 운영에 더해 해체 기술까지 확보하면서 글로벌 원전기업 도약을 노리고 있다. 정부 수출산업화 정책에 부응해야하는 막중한 책임도 짊어졌다.

한수원은 지난해 11월 원전해체 기술개발 로드맵 개정을 완료하고 `안전 최우선 원전 해체`라는 해체 수행 원칙도 수립했다.

앞으로 남은 1년은 한수원에 `원전 해체 100년 사업` 가능성을 판가름할 중요한 시간이다. 무엇보다 고리 1호기가 영구정지 때까지 안전하게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어 영구정지와 해체를 위한 정부 승인절차도 밟아야한다.

당장 다음달 운영변경허가 신청서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원자로 정지 이후 완전히 멈추는 설비와 시설 유지를 위해 가동해야할 설비를 나누게 된다. 해체 계획은 올해 안에 마련할 목표다. 해체를 위한 세부 계획에서부터 약 6500억원 규모 비용 집행, 기간별 수행 업무 등을 담을 예정이다.

실제 해체 작업을 위한 숙제도 많다. 영구정지 전 준비부터, 정지 후 냉각, 핵연료 인출, 제염(오염제거)과 방사선 안전관리, 구조물 해체와 해체 폐기물 처리, 부지 복원 등이 한수원 앞에 주어진 주요 업무다. 해체 계획서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공청회 등 주민의견 수렴 과정도 거쳐야 한다.

영구정지 이후 고리 1호기가 제염과 해체 수순을 밟는 건, 원자로 냉각후 2022년부터다. 한수원은 이 때까지 원전 해체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해체에 필요한 기술은 58개, 이중 17개 기술은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한수원은 당초 기술 개발과 함께 해외 기술이전도 검토할 계획이었지만, 자체 기술 확보에 힘을 쏟기로 방향을 돌렸다. 설비 원격 절단 등 미확보 기술 다수가 융합형이기 때문에 가능한한 우리 현실에 맞도록 기술을 주도적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한수원은 방사선준위가 낮은 소규모 연구용원자로 `트리가마크` 해체와 중수로 압력관 교체, 증기발생기 등 대형기기 교체 작업 등을 통해 제염, 철거, 방사선 안전관리, 폐기물처리 등의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고방사선 원자로와 내장품 원격절단을 제외한 대부분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고방사성 원자로구조물 해체, 원전해체 표준 설계 같은 연구는 진행 중에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예정대로 고리 1호기 영구정지가 이뤄지도록 관련 인허가 준비를 철저히 해 제때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원전해체 핵심기술 개발을 통한 수출산업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 해체 추진 절차 (자료: 한국수력원자력)>

원전 해체 추진 절차  (자료: 한국수력원자력)
[에너지공기업 혁신 넘어 진화로]<4>원전해체 산업화 새도전 나선 `한수원`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