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는 안전 관련 규제만 가하는 기관으로 받아들여져왔다. 이제는 안전을 넘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김용환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적극적인 소통 의지를 밝혔다. 김 위원장은 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취임 이후 첫 간담회를 갖고 “원자력 안전에 관한 제도 관리와 함께 원전 주변지역을 직접 찾아다니는 현장 중심 소통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취임하자마자 원전 지역을 방문해 지역협의회와 만남을 진행해 왔다. 최근 지역협의회를 재구성 중인 영광을 제외하곤 모든 지역협의회와 소통을 마쳤다. 현재 7개 지역협의회가 운영 중인 상황, 2014년에는 14번 열렸던 회의는 2015년 39번으로 늘었다. 올해는 이를 더 늘릴 예정이다. 정기적 회의 외에도 이슈가 있을 때 마다 주민을 찾아다니면서 찾아가는 소통을 벌일 계획이다.
최근 일어난 일본 구마모토 지진은 지금까지 소통 방법을 반성하는 계기가 됐다. 후쿠시마 사고 기억이 있었던 만큼 많은 일본 사람이 관심을 가졌지만, 일본 조차 대처가 빠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인근에 위치한 센다이 원전도 안전에 영향이 없었지만, 원전 주변 지역주민이 특히 불안에 떨었다. 앞으로는 이런 상황이 재현되지 않도록 지진과 같은 사건이 발생했을 때 마다 관련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그동안 강조해 온 사업자 정보 공개 확대 방침도 유지한다. 사업자 지식재산권과 국가 안보와 무관한 정보에 대해선 모두 공개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선제적 안전관리 체계인 형상관리시스템도 정착시킨다. 원전 부품과 시스템 설계도면 일치 여부는 물론 모든 장비 설치와 관리 이력을 데이터베이스(DB)화할 방침이다. 설계자와 설치자, 관리자 실명제를 시행해 원전 산업 전반에 책임지는 문화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김용환 위원장은 “원자력과 방사능에 대해 국민이 안전하다고 여기는 것을 넘어 안심할 수 있도록 소통하는 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