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산업의 핵심 사업인 `바이오뱅크 구축` 예산을 당초 계획보다 절반 이상 삭감, 비판이 거세다.
바이오뱅크는 임상·역학 정보 등 인체 자원을 저장한 `데이터 은행`이다. 인체 자원은 신약 개발, 임상, 치료 등 보건의료 분야의 핵심 자원이다. 바이오산업 경쟁력도 인체 자원 확보 여부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는 바이오뱅크 구축에 5년 동안 매년 2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올해 8억50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절반에도 못 미치는 초라한 수준이다. 예산이 부족하다 보니 5개 특화 질병도 1개로 줄였다. 사업 변경이 불가피해 제대로 된 성과를 낼지 의문이다.
관계 기관은 “기획재정부가 바이오뱅크 사업을 연구개발(R&D)이 아닌 인프라 분야라고 해서 예산을 대폭 삭감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인체 자원 확보가 R&D 영역이 아니라는 판단에 어이없다는 반응 일색이다. 바이오 R&D 성공은 바이오뱅크 활용 없이 매우 어려운 일이다. 완성도 높은 인체 자원 확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올해 업무계획에서 바이오를 미래 성장 동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3월에는 국내 바이오 관련 정책을 총괄할 `바이오 특별위원회`를 신설했다. 부처별로 분산된 바이오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R&D, 투자, 사업화를 원활하게 지원하도록 했다.
하지만 바이오특위가 출범한 지 불과 한달여 만에 이해하기 어려운 예산 삭감으로 말미암아 산업 육성에 악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혹시라도 바이오특위 위원 구성에 기재부 공무원이 빠져서 소통 부족으로 생긴 일이라면 추가 선임도 고려해야 한다.
지금 바이오 분야는 그 어느 때보다 사기가 높다. 한미약품의 5조원 규모 당뇨병 신약기술 유럽 수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세계 최대 바이오 의약품 생산공장 착공, 셀트리온의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미국 진출 등 잇따른 개가로 우리 바이오 산업의 가능성을 입증했기 때문이다.
바이오 산업은 짧은 기간에 성과가 나오기 어렵다. 오랜 기간의 R&D와 함께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리를 잡으려면 기업에만 맡겨선 곤란하다. 범정부 차원의 R&D 지속 투자와 규제 개선 등 정책적 뒷받침이 필수다. 정부가 세심하게 신경 쓸 일이 많다는 얘기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단상]데이터 시대의 전략적 선택, 엣지 AI
-
2
[ET시론] 2025년을 준비하는 로봇 산업
-
3
[ET톡] 경계해야 할 중국 반도체 장비 자립
-
4
[ET대학포럼] 〈202〉저성장 한국 제조업, 홍익인간에서 길을 찾다
-
5
[사설]국회 '반도체 특별법' 논의 속도 내야
-
6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1〉CES 2025가 보여 줄 'AI 비즈니스 혁신' 3가지
-
7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65〉일자리 문제는 시간 싸움
-
8
[GEF 스타트업 이야기] 〈54〉한 없이 절망 했고, 한 없이 기뻤다
-
9
[인사] 신한카드
-
10
[사설] 트럼프 2기 산업 대비책 힘 모아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