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2030년까지 글로벌 에너지 신산업을 선점하려면 전기자동차 보급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카본 프리 아일랜드`를 지향하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전기차 보급과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문승일 기초전력연구원장은 24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전자신문 공동 주최로 열린 `전기차 산업 육성 민관 합동 포럼` 기조연설에서 “차세대 성장 동력인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전기차 산업 발전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정부는 2010년 `그린카 로드맵`에 따라 2020년까지 전기차 100만대 보급을 목표로 세웠다. 하지만 2014년까지 전기차 보급량은 2800여대에 불과했다. 연간 전기차 보급 목표 달성률도 매년 떨어졌다. 2011년 42.2%이던 목표 달성률은 2012년 27.2%, 2013년 14.1%, 2014년 7.9%로 주저앉았다. 결국 정부는 2020년까지 20만대 보급으로 목표를 낮췄다.
문 원장은 우리나라 전기차 보급에 속도를 붙이기 위해선 보조금 제도에 의존하는 `악순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정부는 전기차에 대당 1200만원 보조금을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도 별도 보조금을 최대 700만원까지 지급한다.
그는 “전기차 보급에서 중요한 것은 충전 인프라이지만 보조금 지급에만 신경 쓰고 인프라 투자가 없어서 충전기가 부족한 실정이다”면서 “이는 전기차 판매 저조와 전기차 산업 활성화 부진으로 이어져 결국 재투자가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문 원장은 “충전 인프라 구축에 집중 투자하면 전기차 수요가 창출되고 전기차 산업 생태계가 조성돼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문 원장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이 잘된 제주도에서 우리나라 전기차 보급 `대세전환`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제주도는 충전 인프라를 2516대 이상 갖췄다. 지난해까지 판매된 전기차는 우리나라 전체 보급량 40%에 이르는 2366대다. 신재생에너지 비중도 전체 전력의 13%에 달한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대체하고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전체 전력의 85~100% 확대하는 `카본프리 아일랜드`를 계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 38만여대, 신재생에너지 2690㎿ 보급이 전망된다.
문 원장은 “2030년까지 에너지 솔루션 시스템 분야 세계 1위 국가 달성을 위해선 전기차 보급 확대가 먼저 필요하다”면서 “전기차에서 시작되는 차세대 에너지 사업은 전력 설비를 바꾸고 마이크로그리드, 신재생에너지, 신송전기술 사업 등으로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주=박태준 전기차/배터리 전문기자 gaius@etnews.com, 류종은 자동차 전문기자 rje31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