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시장에서 풍력 사업에 대한 인기가 예사롭지 않다. 지난해 말부터 공기업과 민간기업을 막론하고 신규 풍력 사업 허가가 줄을 이으면서 신재생에너지 주류로 정착하는 모습이다.
20일 발전 업계에 따르면 올해를 기점으로 풍력 발전사업 전기위원회 허가 수가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바이오매스 선호도가 높았지만, 해를 넘기면서 풍력으로 급격히 무게 중심이 넘어가는 모양새다.
올 들어 전기위원회에서 허가한 풍력 사업은 총 10건(1월 5건, 2월 5건)이다. 전체 발전사업 허가 안건 22건 중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2월 회의에서 허가가 연기된 재논의 안건 3건도 모두 풍력사업 허가 건으로 이달에도 풍력사업 허가 러시가 계속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눈에 띌 정도의 확연한 변화로 보고 있다. 그동안 발전 업계의 신재생 에너지 주류는 바이오매스였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전기위원회 신재생에너지 허가 현황을 보면 바이오매스가 14건으로 41%를 차지했다. 반면 풍력은 11건으로 35%, 태양광은 5건으로 16%에 머물렀다.
단순 수치비교로도 지난해 상반기 6개월 동안 허가 건수를 두 달 만에 따라잡은 것은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현 추세대로라면 지난해 바이오매스를 넘어설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풍력사업 선호도 상승은 기후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과 이를 위한 정부 지원 확대, 관련 규제 완화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다. 그동안 풍력사업 추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됐던 환경 관련 입지 규제 해소로 밀렸던 프로젝트들이 하나 둘 착수되면서 신규 사업 허가도 늘고 있는 셈이다.
비연소 계열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는 발전 효율이 높은데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의무 여건이 개선된 것도 크게 작용했다. 그동안 바이오매스가 인기를 끌었던 것도 같은 이유다. 다른 신재생 에너지와 비교해 전력 생산량이 많고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는 낮아도 설비용량이 이를 커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풍력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연계할 경우 REC 가중치를 5.5배까지 인정받게 되면서 전세가 뒤바뀐 셈이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사업자 입장에선 풍력+ESS 가중치가 5.5배로 늘어나면서 폐기물이나 목재 팰릿 등 별도 연료를 확보해야 하는 바이오매스보다 풍력쪽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당분간 신규 풍력사업에 대한 허가 러시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풍력발전 허가 현황>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