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와 송전망, 변전소를 모두 포함하는 국가 전원설비 고장 빈도가 계속해서 줄고 있다. 정부 관리를 받는 공기업 보다는 민간 발전이 고장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간 비중이 높은 가스발전 고장 비율이 높고, 원인도 오동작이 많아 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16일 전력거래소 `2015년 전력설비 정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원설비 고장은 모두 308건 발생해 전년 366건에 비해 58건(16%) 줄었다. 지난 2013년 400건에서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발전설비 고장은 166건으로 전년 보다 38건 줄었다. 변전설비는 30건이 줄어든 36건을 기록했다. 반면 송전설비 고장은 106건으로 전년보다 10건이 늘었다.
발전소 고장 감소는 발전공기업 6사(한국수력원자력 포함) 고장 빈도가 크게 줄어든 영향이 컸다. 발전공기업 5개사가 2014년 68건이나 냈던 가스발전 고장이 33건으로 절반이상 줄어든 것이 눈에 띈다. 발전공기업 주력인 석탄화력 고장은 전년 17건에서 16건으로 소폭 줄었다. 원자력발전을 전담하는 한수원은 2014년 6건이었던 고장건수를 지난해 3건으로 줄였다. 국민 원전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발전은 101건 고장을 기록해 2014년(101)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민간 주력인 가스발전은 91건으로 전년보다 2건이 되레 늘어났다. 가스발전은 원전·석탄에 비해 가동정지가 빈번할 수 있지만 발전공기업은 똑같은 발전연료로 절반 이상 줄인 것을 고려하면 철저한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발전원가 지속 하락과 가동량 축소에 따른 고장 원인 등이 파악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고장 원인은 오동작이 전체 166건 중 53건(32%)을 차지했다. 대다수 발전소가 자동화와 디지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제어계통 불안정으로 오신호에 따른 고장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비 노후화도 짚어봐야할 문제로 드러났다. 10년 이상 운전된 발전소 고장 중 75%가 부품 연식에 따른 고장으로 전반적 제어계통 업그레이드와 부품의 적기교체 등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송전설비 고장은 자연재해 또는 현상에 의한 발생이 많았다. 중부지역에 폭설이 내린 지난 12월 3일에만 송전선로 고장 27건이 집중 발생하기도 했다. 이물접촉에 의한 고장 중 크레인 사고로 인한 것도 16건에 달했다. 변전설비는 초고압직류송전의 고장이 줄면서 다소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공기업 부문에서 고장 건수가 줄어든 데에는 그동안 전사 차원에서 무고장 문화 캠페인을 벌이는 등 설비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다. 설비에 대한 책임제를 실시하고 진단장비나 운전정보시스템으로 예측정비, 전문 교육 프로그램으로 고장을 줄여왔다. 실제 고장건수 감소로 나타나면서 해당 공기업 경영평가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고장이 나기 전에 미리 위험 요소를 없애는 선제적 정비로 고장을 줄이고 있다”며 “발전공기업 대부분이 경영평가 관련 계량지표에서 좋은 점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전원설비 고장원인과 현황 (단위:건)
자료:전력거래소(2015년 전력설비 정지 통계)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