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관리·처리 문제를 놓고 중간저장시설 확보에 앞서 임시저장 해법 마련 요구가 커지고 있다. 최종 처분과 중간저장시설, 지하연구소 등을 마련해 현재 원전에 임시저장 중인 핵연료를 옮기겠다는 구상이지만, 이에 앞서 일부 원전 핵연료 저장용량이 조만간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7일 원자력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마련 중인 사용후핵연료관리기본계획에서 원전 부지 내 임시저장소 추가와 중간저장시설 구축 일정이 핵심 논제가 되고 있다. 저장용량 포화시점이 곧 도래하는 만큼, 추가 용량 확보를 위한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핵연료관리기본계획은 원전 내 임시저장 중인 핵연료 처리의 국가 마스터플랜으로, 지난해 사용후핵연료공론화위원회의 권고안을 기초로 만들어지고 있다. 핵연료 최종처분과 중간저장시설, 지하연구소 설립, 이에 따른 보상 등 내용을 담고 있다.
원자력계가 원전부지 내 추가 임시저장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중간저장시설 건설 일정이 늦어질수록 임시저장소 포화도는 높아지기 때문이다. 임시저장 용량을 먼저 늘리고, 중간저장시설 완공 때까지 시간을 벌자는 차원이다.
당장 중수로 연료를 사용하는 월성원전은 오는 2019년 저장시설이 포화된다. 이미 추가 임시저장시설을 운용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모두 차버린다. 이후 2024년에는 한빛원전이, 2026년에는 한울원전이 포화시점을 맞는다.
공론화위원회가 예상한 중간저장시설 건설까지 소요기간은 약 7년이다. 월성은 사실상 추가 임시저장소가 당장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로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미 월성 원전과 관련 지역 주민들과 추가 임시저장소 건설 관련 협의를 진행 중이다.
한빛·한울·고리 등 다른 원전도 마음 놓고 있을 상황이 아니다. 7년 건설기간은 차질 없이 진행됐을 때 예상일 뿐, 실제로 중간저장시설 확보까지 기간은 더 길어질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리장(방폐장)이 경주에 들어서기까지 걸린 기간만 38년에 달한다. 그나마 월성은 이미 임시저장을 하던 중에 추가이지만, 나머지 원전은 신규로 임시저장소를 검토해야 하는 점도 부담이다.
최종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핵연료관리기본계획도 이 부분에 대한 검토가 계속될 전망이다. 법안 마련이나 주요 절차나 일정은 권고안을 수용하더라도 임시저장과 중간저장에 대한 선후 처리는 지역 협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산업부 역시 관리기본계획 발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국민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용후핵연료관리기본계획 최종 작업 단계로 상반기 계획 발표, 하반기 특별법 발의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주요 논의에 대해선 공청회와 설명회 등을 거쳐 계속 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