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공기업 개편 작업이 통폐합까지 가기 보단 일부 기능조정선에서 일단락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기획재정부를 주축으로 발전공기업 구조 개편 소식이 여러 통로로 나오고 있지만, 실제로 일부 공기업 통합까지 진행되기에는 인력 구조조정, 지방이전 등 문제로 한계가 많다는 분석이다.
23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발전공기업 통폐합 이슈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해당 기업과 관계자, 업계 전체가 바짝 긴장했다. 발전공기업은 구조조정 우려로, 민간발전사는 거대 사업자 등장에 따른 시장판도 변화 가능성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핵심은 기재부가 잡고 있는 개편 수위로 현재 발전공기업 5사 중 통합이 되거나, 어느 쪽에 흡수될 기업이 나오느냐 여부다.
발전공기업 통합 문제는 이전 정부에서도 나왔던 해묵은 이슈다. 전력산업 구조개편으로 한전과 발전공기업이 분리된 이후 10년이 지난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국회에서 꾸준히 제기돼 왔다. 당시 한전 적자경영과 부채 문제가 불거졌고, 발전공기업 경영 비효율성이 지적되면서 일부 회사 통합이 언급됐고, 관련 논의가 현정부 공기업 경영혁신으로 이어져오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지금은 정부와 발전업계 모두 통합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너무 앞서나간 관측이라며 통합 논란에 선을 긋고 있다. 통합과 구조조정이 아닌 기능조정이 목적이며 협의와 검토 단계 수준으로 말하기도 힘든 상황이라는 반응이다.
당사자인 발전공기업도 되도록 신경 쓰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2010년 초반과 지금의 시장상황이 너무나 달라진 이유가 크다. 당시에는 한전을 비롯해 발전공기업 경영성과가 좋지 않았지만 지금은 정반대 실적지표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전은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고, 발전공기업들도 연료비 하락에 따른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도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부담이 있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그동안 부채감축과 경영혁신 일환으로 조직을 슬림화하고 최근 성과연봉제와 임금피크제까지 도입한 상황에서 추가 구조조정 여지가 많지 않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발전공기업 별로 지방이전을 마무리하고 정착한 지금, 조직 통합이 물리적으로 어려워졌다는 설명이다.
일부 설비 운영권 변경에 대한 가능성은 계속 제기되고 있다. 발전 업계에서는 그동안 서인천발전소와 여수화력·호남화력 등 복수의 회사가 한 곳에 같이 있거나, 지리적으로 가까운 설비에 애해 운영권 일원화 가능성을 점쳐왔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발전공기업에 대해선 일부 기능조정에 대한 초기 작업이 진행 중으로 통합 예상은 너무 앞서나간 추측”이라고 말했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