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 무방비에 출력량 다른 엉뚱한 데 꽂혀있기도’…전기차 충전기 `위험 천만`

‘충전기 케이블이 땅바닥에 뒹굴고, 방전량이 갑절 많은 충전기가 꽂힌 곳도….’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앞두고 있지만 충전기 운영·관리 상태는 위험 수위를 넘었다.

경기도 내 한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충전소에는 3㎾ 완속충전기 케이블이 땅바닥에 나뒹굴고 있었다. 갑작스러운 비라도 내리면 감전 사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상태다. 한 전기 전문가는 “대부분 충전기는 제작 과정에서 단락·누전차단 기능이 잘 갖춰져 있지만 물기 접촉 등 상황에서 3㎾면 심장마비를 감전사를 부를 수 있는 용량”이라고 설명했다.

록(잠금)장치가 위쪽 한 부분만 돼 있어 옆으로 흔들리면 충전 중에 케이블이 빠지는 것도 확인됐다. 올해 전기차 보급대수 1만대 돌파를 앞두고 국가 차원의 충전기 안전 정비·설비 관리가 시급해졌다.

Photo Image
경기도 고양시청 내 전기차 충전소. 3kw급 케이블이 충전기에 꽂힌 채로 바닥에 놓여있다.

22일 전자신문 기자가 직접 둘러본 경기도 내 다수 완속 공용충전소에는 공용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충전기가 꽂힌 채 방치돼 있었다. 심지어 충전 중에도 성인 남성 힘으로 충전케이블이 쉽게 뽑혔다.

우리나라 완속충전기(3·7㎾)는 지난 2012년 국가표준원 표준에 따라 충전기와 충전케이블을 고정시킨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규격화됐다. 하지만 대부분 경제성 등 이유로 공용충전소는 분리형 충전기가 설치돼 있다. 전기차 운전자는 충전케이블을 차에 신고 다니면서 충전할 때 꺼내 써야 한다.

대다수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공공기관이나 개인은 충전케이블을 임의로 연결해 사용한다. 충전 때 매번 케이블을 차에서 꺼내 쓰는 번거로움 때문이다. 심지어 2013년 이후에 출시된 차량에는 사용하면 안 되는 충전케이블을 쓰고 있었다.

공공기관은 2012년부터 정부 전기차 보급 사업에 따라 당시 출시된 현대차 ‘블루온’이나 ‘레이EV’ 등 규격에 맞는 3㎾급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었다. 반면에 2013년 이후 출시 차량은 7㎾급 케이블을 쓴다. 2013년 이전에 출시된 전기차는 한 시간에 3㎾ 전기를 충전하도록, 그 이후 전기차는 7㎾h로 갑절 이상 많은 전기를 충전하도록 설계됐다. 일반인은 두 충전기를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헷갈린다.

케이블 연결부 핀(PIN) 규격이 일치하고 케이블 두께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결국 7㎾ 충전케이블을 쓰는 차량이 충전소에 갔을 때는 이미 꽂혀 있는 3㎾급 케이블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3㎾를 충전하도록 설계된 전기차에는 문제될 게 없지만 7㎾ 전기를 충전하도록 설계된 차량이 이미 꽂혀 있는 3㎾ 케이블로 장시간 충전한다면 과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3㎾ 전기에 견디도록 설계된 케이블에 갑절 이상 많은 전기가 흐르기 때문이다.

Photo Image
제주도 서귀포 시내 공용충전소. 레이EV용 3kw급 케이블이 7kw급 충전기에 꽂힌 채로 방치돼 있다.

이들 충전기는 일체형으로 제작돼 충전케이블 걸이가 없다. 별도로 설치를 해 주지 않으면 케이블이 바닥에 나뒹굴 수밖에 없다. 충전기와 전기차 간 연결이 끊기면 전기는 자동으로 단락되지만 비나 눈에 노출돼 있어 자칫하면 감전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전기차 대중화시대가 코앞인데, 충전기는 아직도 많이 허술하군요. 위에만 록(Lock) 장치가 돼 있어, 옆으로 살짝만 흔들어도 충전중에 플러그가 빠지네요. 안전 기준 강화가 시급해 보입니다.

더욱이 올해부터 3㎾ 케이블을 사용하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가 다수 출시됨에 따라 케이블 분리형 충전기의 위험 노출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업계는 공용으로 쓰는 완속충전기를 7㎾급 케이블 일체형으로 표준화할 것을 주장한다.

충전기 업체 관계자는 “미국과 유럽은 우리나라와 달리 록 기능을 강화한 7핀 케이블에다 충전기 케이블 일체형으로 규격화해 안전성을 높였다”면서 “레이EV 등 구형 전기차뿐만 아니라 올해 다수의 PHEV가 국내 출시됨에 따라 충전기 안전 기준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태준 전기차/배터리 전문기자 gaiu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