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기업엔 큰 기회

국민권익위원회는 민원 분석을 통해 사회갈등을 예방하고, 국민 불편을 조기에 해소한다는 목표로 ‘빅데이터’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는 최종적으로 정책 개선까지 이뤄 ‘빅데이터 모범 사례’로 꼽힌다.

지난해에만 총 116건이 정책 수정·개선에 활용됐다. 권익위는 향후 민원 정보와 분석결과 등을 국민에게 공개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완할 계획이다.

도로교통공단은 과거 3년간 교통사고 정보와 실시간 기상정보, 돌발정보 등을 분석해 해당 도로 위험도를 안전·주의·위험·심각 4단계로 표출하는 ‘위험도로 예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경찰서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에서 위험 지역에 대한 교통사고 예방 활동이 가능해졌고, 교통 흐름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빅데이터를 활용한 행정 혁신 사례가 늘면서 관련 산업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 빅데이터 시장규모는 2623억원으로 전년보다 30% 이상 급성장했다. 성장 동인은 정부와 민간 기업의 투자 확대였다. 빅데이터 관련 정부투자는 2014년 490억원에서 2015년 698억원으로 확대됐다.

불과 몇 년전만하더라도 정부와 지자체가 유행처럼 ‘빅데이터’ 활용에 나서면서 우려섞인 시각이 많았다. 뚜렷한 목표도 없었을 뿐더러 빅데이터라할 수 있는 데이터도 사실상 갖추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투자와 서비스 고도화로 결실을 맺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면서 관련 시장이 다시 조명받고 있다.

공공기관 한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너도나도 빅데이터를 활용해 신규 사업에 나서고 있다”며 “앞서 정부기관이 지식관리시스템(KMS)을 앞다퉈 도입했다 지금은 전혀 사용하지 않는 곳이 많듯이, 빅데이터도 뚜렷한 활용 목표 없이 추진했다간 생명력을 오래 유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정부는 공공 데이터를 대거 공개해 민간의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정부는 올해 국민생활과 산업에 파급효과가 큰 식의약품 정보와 국가재난관리 정보 등 22개 분야 데이터를 올해 조기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은 새로운 시장과 서비스 발굴, 고용창출로 이어져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