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도 노골적인 산자이 전략을 들고 나왔다. 자국 배터리 업계에 유리한 보조금 제한 조치를 하면서 반대로 타국 배터리 업계에 부정적인 영향 미치고 있다. 리튬이온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의 타격이 우려된다.
1일 외신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리튬인산철(LFP) 방식의 배터리를 채용한 전기버스에만 보조금을 주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이온배터리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삼원계 방식은 제외됐다.
중국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전기차 보조금 축소 의사를 밝혀 왔다. 중국 재정부는 보조금 규모를 2017년 20% 축소하고, 2020년 이후 폐지한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중국은 그동안 전기차 구매자에게는 약 1000만원,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구매자에게는 약 6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며 시장을 키워 왔다. 현재 중국 전기차 시장은 세계 1위 규모로 배터리 업계에 있어서는 빅마켓이다.
그중 배터리 업계에겐 핵심시장인 전기버스는 보조금 의존도가 유독 크다. 차량 가격이 2~3억원 수준인 반면, 1억원 이상의 보조금이 지급돼 사실상 보조금이 없으면 사업을 할 수 없는 구조다.
LFP 방식 보조금 지급 결정은, 결과적으로 중국 기업들이 수혜를 받게 된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로 많이 사용되는 리튬이온방식은 삼원계가 주류다. 에너지밀도가 높아 세계 주요 배터리 업계 다수가 삼원계 방식을 쓰고 있다. 우리나라의 삼성SDI와 LG화학은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중국 현지에 대규모 생산기지 투자를 하기도 했다. 반면, 중국은 기술적 한계로 아직 LFP 방식의 배터리를 쓰고 있다. 중국 정부는 안전성을 이유로 보조금 지급 대상으로 LFP로 제한했지만, 사실상 그동안 다른 산업에서 보여준 산자이 전략을 되풀이하고 있는 셈이다.
산업계는 중국의 보조금 정책 변경으로 삼성SDI와 LG화학의 매출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더욱이 양사 모두 중국시장 공략에 막대한 투자를 한 상태여서 타격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삼성SDI와 LG화학은 중국 정부의 보조금 축소 계획은 예전부터 알려졌던 만큼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