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빅데이터 시대, 리스크도 함께 대비해야

정부가 올해 공공 빅데이터 사업을 대거 확대한다.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3000억원 규모다. 정책과 대국민 서비스에 빅데이터 적용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목되는 사업이 있다. 범부처 활용 공간 빅데이터 표준 플랫폼이 대표적이다. 공간정보 기반 부동산·교통·행정·의료·상업 등 35종 데이터를 융합한다. 국산 지리정보시스템(GIS) 솔루션도 개발한다.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도 관심이 모아진다. 공공·민간 교통 빅데이터를 융합한다는 복안이다. 국방부는 군인 급여와 인사 데이터를 융합해 자산운용을 효율화하는 시범사업을 벌인다. 전투력 강화에도 빅데이터를 활용할 방침이다.

국가 정보화는 인프라 구축에서 데이터 활용으로 변화됐다. 때문에 정부가 빅데이터 사업에 드라이브를 거는 것은 시의적절하다. 하지만 무작정 빅데이터를 확대·구축해서는 곤란하다. 방대한 데이터와 연결에 따른 위험성이 그만큼 커지기 때문이다.

로컬에 머물렀던 데이터가 중앙에 집중하면 리스크가 증가한다.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많은 정보가 집약된 것이 대표적 예다. 과거에는 특정 서버 해킹이나 정보 유출이 한 지점 피해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온라인 공간에서 해킹, 사이버테러, 사이버전 파급력은 연쇄적이다.

빅데이터 정보 과신과 기대도 문제다. 정부와 기업에 의한 빅데이터 활용이 무한한 비즈니스 이윤 창출이나 아카이브 정보 효율성에 기여한다고 확신한다. 이에 비례해 문제가 발생하면 위험성은 상상을 초월한다.

빅데이터 사회 특성은 복합적이고 불확실하다. 과거 정보화사회에서는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한 범위와 경계가 있었다. 빅데이터 시대에는 위험과 재난 상황이 불확실하고 복합적이다. 빅데이터는 부인할 수 없는 대세다. 그만큼 빅데이터가 수반하는 리스크도 간과해선 안된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