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입 가능성 높은 고위험 바이러스 감염병 진단기술 개발 착수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바이러스 감염질환 진단기술 개발에 착수한다고 10일 밝혔다.

국내에서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유입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바이러스 감염질환 진단키트를 개발한다.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진단키트 효능 검증과 실용화 등을 위해 2019년까지 5년간 약 6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베트남, 필리핀, 태국, 남아프카공화국 등 연구기관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뎅기열, 황열, 웨스트나일, 치쿤구니야, 에볼라 바이러스 등 고위험 바이러스 진단기술을 개발해 효능을 검증하고, 진단키트 실용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관련 임상시료를 확보하고 있는 해외 정부기관, 대학 등과 전략적 연구협력 네트워크 구축(용역연구 협약 체결)으로 국내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감염병 임상시료 제공과 효능 검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2016년부터 사회문제 해결형 다부처 사업으로 추진하는 ‘감염병 조기감시와 대응기반 구축’ 사업으로 5년간 총 120억원, 감염병 바이러스성 질환용 신규 타깃 발굴과 백신 원천기술개발 등에 5년간 총 100억원을 지원하는 등 본격적으로 감염병 연구를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