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와이파이 예산 제로, `수익형 사업모델` 도입 시급

내년 공공 와이파이 예산이 전액 삭감됐다. 지속적 관리와 품질 개선, 보안 솔루션 도입이 필요하지만 통신사업자 재량에 맡겨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공공 와이파이 취지를 살리고 서비스를 확대하려면 자립형·수익형 사업 모델 도입이 시급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지난 3일 확정된 2016년 미래부창조과학부 예산에 공공 와이파이 예산 22억7000만원이 빠진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앞서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는 기획재정부가 삭감한 예산을 다시 반영해 예산결산특별위원회로 보냈지만 최종 예산안에 포함되지 못했다.

공공 와이파이는 저소득계층 가계통신비를 절감하고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게 목적이다. 2017년까지 총 1만2000곳에 구축 예정이다. 내년과 내후년 설치 물량(2000곳)이 신규 구축이 아닌 이통사 기존 물량 개방이기 때문에 신규 예산 책정은 어렵다는 게 기재부 주장이다.

Photo Image

예산 배정에 실패하면서 노후 접속지점(AP) 업그레이드와 보안 솔루션 도입 등 품질 개선은 어렵게 됐다. 기가 와이파이 도입도 힘들어졌다. 정부가 운영하는 공공 와이파이 민원센터 운영도 차질을 빚게 됐다. 공공 와이파이 유지보수는 이동통신사가 담당하고 전반적 운영과 관리, 계획 수립은 미래부, 정보화진흥원(NIA)이 책임진다. 공익 차원에서 사업에 협력해왔던 이통사는 내년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미래부 관계자는 “정부는 주기적으로 공공 와이파이 현황을 모니터링해 취약점을 개선하고 있다”며 “이통사와 논의해 내년에도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 와이파이는 대표적 통신복지 서비스다. 2013년 초 16만건이던 이용 건수가 지난 9월 563만건으로 35배 이상 증가했다. AP 1개당 월간 트래픽이 상용 와이파이 1.8배에 이를 정도로 수요가 많다.

미래부가 추진하는 ‘공공 와이파이 2.0(가칭)’은 중장기적으로 수익 기반 자립형 모델 도입에 초점을 둔다. 와이파이 업계는 구글이나 소프트뱅크 사업 모델을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글은 뉴욕 시내 낡은 공중전화 박스에 공공 와이파이를 설치해 무료 인터넷을 제공할 계획이다. 스탠드 광고와 10초짜리 스마트폰 광고로 앞으로 12년간 수익 6000억원을 예상한다. 소프트뱅크는 다양한 와이파이 이용권 사업으로 공익 달성과 매출 증대를 동시에 꾀하고 있다.

권태일 빅썬시스템즈 대표는 “소외 지역뿐만 아니라 관광객, 일반 사용자가 많이 모이는 곳으로 설치 장소를 확대해야 공공 와이파이 가치가 높아질 수 있다”며 “광고 시장이 오프라인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어 광고 모델을 활용한 자립 기반은 마련됐다”고 말했다.

연도별 공공 와이파이 이용 현황(단위:만건)

자료:미래부·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 와이파이와 상용 와이파이 비교(2014년 12월 기준)

자료:미래부·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 와이파이 예산 제로, `수익형 사업모델` 도입 시급
공공 와이파이 예산 제로, `수익형 사업모델` 도입 시급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