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1] 각 국 정상, 신기후체제 수립 촉구…선진·개도국 입장 차는 여전

지구를 살리기 위한 신(新)기후체제 수립을 촉구하는 각 국 정상 목소리가 전 세계로 울려 퍼졌다. 박근혜 대통령도 에너지신산업 100조원 시장 창출을 통해 기후변화대응과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나설 것을 선언했다. 다만 기후재원 기여 등 온실가스 감축에 필요한 노력 배분에 대한 선진국과 개도국 입장차는 여전해 ‘파리합의’에 도달하기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Photo Image
박근혜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 르부르제 공항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0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개막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1)’ 개막식에서 박근혜 대통령,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약 150개국 세계 정상들은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신기후체제 수립을 촉구했다.

정상들은 2주간 이어지는 COP21 대장정에서 화석연료로부터 독립된 국제경제를 이끌어나가기 위한 공동대응 필요성을 역설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은 세계 제1 경제대국으로서, (중국에 이은) 제2 온실가스 배출국으로서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역할을 인지하고 있으며 그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역사적 책임에 무게를 둔, ‘공통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 원칙’이라는 개도국 입장을 견지했다. 시진핑 주석은 “파리총회에서 반드시 각국 경제적 차이를 인정하고 자발적으로 서로 다른 지구온난화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중 양국은 저탄소 성장과 개발도상국 기후변화 적응 문제에 대한 재정적 지원 등의 문제에서 합의를 이끌어가겠기로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더 이상 망설일 시간이 없다. 전 지구적 의지와 역량을 결집해 이번 총회에서 신기후체제를 반드시 출범시켜야 한다”며 “한국은 2030년까지 100조원 신시장과 50만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를 달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신기후체제가 수립되더라도) 개발도상국이 성장할 충분한 여지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과 인도 등 개도국과 유럽연합(EU) 등 선진국 정상 발언은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했지만, 기후재원을 둘러싼 입장 차이가 여전히 크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각국 협상단들이 타협과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길을 선택할 것을 촉구한다”며 “뚜렷한 기후행동은 이번 파리회의에 참여한 각국 이해관계에 달려 있다. 벼랑 끝 전술의 시대는 끝났다”고 당부했다.

한편 주요 20개국 정상들은 ‘기술 혁신’으로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연구개발 투자를 늘려 청정 에너지 기술을 확보하고, 민관 협력으로 상업화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국제협의체 ‘청정에너지 혁신미션(Mission Innovation)’을 출범시켰다.

출범식에 참여한 각국 정상은 국가 주도 청정에너지 연구개발(R&D) 투자를 2배로 확대하고, 민·관이 R&D와 기술 상업화를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공동성명서를 채택했다. 공동성명서에는 참여국 간 협력과 민관 파트너십을 통한 공동 R&D를 촉진하고, R&D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내용을 담았다.

청정에너지 혁신미션은 미국·프랑스·인도가 주도해 창설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영국, 중국, 일본 등 총 20개국이 참여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혁신미션과) 녹색기후기금(GCF)과의 협력은 많은 시너지가 있을 것”이라며 GCF와 연계한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 체계를 제안했다. 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에너지 신산업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함봉균·성현희기자 hbkon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