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 시대] 정유, 석유화학

수출 비중이 높은 정유·석유화학업종은 한중 FTA 실질적 타결로 시장 확대 효과를 얻었다. 다만 즉각적 수혜보다는 중국 수요 증가에 따른 점진적 이득이 예상된다.

Photo Image

석유화학은 고부가 제품 시장에 수혜가 집중될 전망이다. 중국은 한국 석유화학 제품 45%가 수출되는 황금 시장이다. 중국은 첨단 고부가 제품인 이온교환수지, 고흡수성수지, 폴리우레탄 등과 자급률 부족 기초원료인 에틸렌, 프로필렌, 혼합자일렌 시장을 개방했다.

관세철폐로 가격경쟁력이 상승하고 이는 곧 수출물량 증대 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 양허제외나 장기철폐 품목 가운데 중국 자급률이 낮은 부타디엔, SM, ABS 등 6개 품목은 잠정세율 적용으로 경쟁력 제고가 기대된다. 반면에 합성고무 등 중국 자급률이 높은 제품은 국내 유입물량이 늘어날 수 있고 P-X, TPA 등 양허제외 품목 관련 산업은 당분간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정유산업은 상대적으로 수혜폭이 적다. 석유제품 대중국 수출 비중은 18% 수준이고 경질유 제품의 수입관세율은 이미 0~1% 수준으로 관세로 인한 영향이 크지 않다. 또 중국 시장에서 효자역할을 해 온 윤활기유, 아스팔트 관세 철폐 기간이 업계 지속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15년 점진적 철폐로 결정돼 수출 증대 효과가 희석됐다.

정부는 한중 FTA타결로 관련 업계 자연스러운 구조조정을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정유·석유화학업계에 범용 제품 중심 산업 구조를 탈피하고 고부가 제품 중심 사업 구조를 주문해왔다. 중국과 협상에서도 범용 제품 시장은 사실상 포기하고 특화 시장 보호에 초점을 맞췄다. 산업계도 효율성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잉여 에너지·부산물 교환과 기반시설 공동 활용 등에 나서고 석유화학공정 효율성 향상을 위해 3년 이내 단기 위주의 공정 고도화 기술개발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정부도 산업소재핵심 및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에 3년간 총 300억원을 지원하는 등 후방 지원에 나선다. 석유·가스 공사 등 공기업 현지 협작투자 사례를 늘리고 수출입은행 연신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정유·석유화학분야 수혜는 사실 미미한 수준이지만 중국 자급률이 떨어지는 특화 소재 등은 향후 기회가 될 수 있다”면서 “주력 시장인 중국과 FTA로 관련 산업 구조도 상당 부분 변화가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FTA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