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터넷 서비스 암호화 논쟁은 ‘카카오톡’에서 시작됐다.
정부는 2014년 9월 18일 대검찰청, 미래창조과학부, 안전행정부,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포털 업체 등이 참여한 대책회의를 열었다. 여기서 검찰은 사이버상 허위사실 유포 대응방안으로 ‘선제적 대응’을 발표했다. 이 발표로 수사 대상이 전방위로 확산될 수 있다는 논란이 확산했다. 여기에 정부가 ‘사이버 명예훼손 전담수사팀’을 신설하면서 카카오톡 감시 논란이 거세졌다. 검찰이 카카오톡 감시는 없다고 해명했지만 국민 불신을 증명하듯 암호화된 외국 서비스를 찾아 ‘메신저 망명’이 줄을 이었다.
국민이 카카오톡을 신뢰할 수 없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종단 간(End-to-End) 암호화가 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카카오톡을 버리고 선택한 서비스는 ‘텔레그램’. 텔레그램은 비밀대화가 되는 서비스다. 중간에 서버를 두지 않고 단말기에서 단말기로 직접 전송되는 종단 간 암호화 방식을 쓴다.
사이버 망명 사태로 대규모 고객 이탈을 겪은 카카오도 결국 카카오톡에 비밀채팅 서비스를 도입했다. 비밀채팅은 종단 간 암호화 기술을 적용해 암호화된 대화 내용을 풀 수 있는 열쇠를 개인 단말기에 저장한다. 대화를 나눈 사용자 단말기를 압수해 분석하지 않는 이상 대화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카카오톡 서버에 있는 정보만으로 대화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카카오톡 논란 후 보안이 강화된 서비스가 속속 나왔다. 투아이피가 내놓은 ‘키피’는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새로운 온라인 통신 플랫폼이다. 키피는 사용자에게 어떤 개인정보도 요구하지 않고 서버에 이용자 간 대화 내용이 남지 않는다. 키피는 사용자 스스로 개인정보 생성과 보관, 삭제, 전달, 회수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한다.
네이버는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에 파일 자체 암호화 기능을 추가했다. 파일 암호화 기능은 PC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탐색기 등에 동시 적용되며 한번에 최다 100개, 최대 10기가바이트(GB) 암호화가 가능하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