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석탄화력에 대한 실질적 비중축소가 이뤄진다면 LNG발전소 가동률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전력업계의 LNG발전소 가동률에 대한 관측이다.
업계가 정부 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 대책과 LNG발전소 가동 증가를 연결하는 것은 선택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배출권 구매만으로 대응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전부문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선 석탄화력 가동률 조절이 불가피하다.
현재 석탄화력이 생산하는 전력은 국가 전체 전력의 40% 수준으로 원전보다 많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선 석탄화력에 어떻게든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업계는 굳이 정부가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석탄화력 사업자들이 자발적으로 축소 입찰 등으로 가동률을 낮출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은 설비 과잉으로 LNG발전소가 가동을 못하고 있지만 내년부터는 자연스럽게 석탄은 줄이고 그 빈자리를 LNG가 채울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비용 상승이다. 석탄화력 자리를 LNG가 대체하게 되면 국가적으로 전력생산에 사용하는 연료비가 증가하고 소비자 전기요금 인상 요인으로 이어진다. 값싼 발전소부터 가동해 최대한 낮은 비용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저렴한 전기요금을 구현하는 경제급전 원칙을 고수해 온 정부로서는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이 때문에 발전업계도 LNG로의 연료전환이 급격하게 진행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는 많은 변수로 최근 전력시장이 시시각각 바뀌는 만큼, 자원과 설비·시장·공급 등 전체 에너지 시스템을 아우르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불과 2년 전에 부족했던 설비와 가스가 지금은 넘쳐나고 있고, 온실가스 감축으로 당장 내년부터 시장이 어떻게 변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정책으로나마 사업자의 시장예측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한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