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화질이 두 배 이상 선명해진다.
DMB 업계가 모바일 IPTV, N스크린 등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서비스에 밀려 지상파 DMB 시청률이 지속 하락하자 화질을 끌어올려 시청자 이탈 방지에 나섰다.
지상파DMB편성위원회는 DMB 채널 제공 방송사와 함께 내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모바일 앱 형태 지상파 DMB 서비스 개발에 착수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0/734438_20151019151934_246_0001.jpg)
지상파 DMB 관계자는 “지상파 DMB가 다른 모바일 TV 서비스보다 화질이 떨어진다는 시청자 의견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라며 “다음달 구체적 서비스 개선 방향을 정해 내년 상반기 (앱을)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지상파 DMB 기술표준은 CIF(352×288)와 QVGA(320×240)다. 주요 스마트폰이 고화질(HD·1280×720) 이상 해상도를 구현하는 것을 감안하면 지상파 DMB 영상은 이른바 ‘모자이크’ 현상이 발생한다. 모바일 TV 시청자는 점차 지상파 DMB를 떠나 최신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해상도를 제공하는 모바일 IPTV와 티빙, 푹 등 N스크린 서비스 앱으로 옮기고 있다.
김민종 QBS 미디어사업국장은 “전파연구원이 최근 개정을 예고한 지상파 DMB 기술표준을 적용하면 기존보다 최소 갑절 이상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며 “그동안 선보인 지상파 DMB와 전혀 다른 형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파연구원은 지상파 DMB에서 VGA(640×480) 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술표준을 개정할 예정이다. 지상파 DMB에 VGA를 적용하면 산술적으로 화질이 4배 향상된다.
안정된 수신 환경을 구축하는 것도 DMB업계 과제다.
스마트폰 제조사는 최근 제품 디자인상 이유로 DMB 안테나를 기본 탑재 부품에서 제외하거나 이어폰을 안테나 대용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DMB 화질을 개선해도 안정적 수신 환경이 마련되지 않으면 시청률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최근 DMB를 재난방송 매체로 지정한 것에 따라 스마트폰 등 주요 기기에 DMB 안테나를 의무적으로 탑재하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DMB 기능을 구현하지 않은 일부 기기 사용자가 재난상황을 청취하지 못해 위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기기에서 DMB 음영지역이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와 스마트폰 제조사가 DMB 수신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