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필호의 실크로드 속으로] (1) 실크로드는 어떻게 형성됐을까

Photo Image

실크로드가 형성된 시점을 정확하게 알아 맞출 수 있는 사람도 없고 방법도 없다. 왜냐면 실크로드라는 것이 어느 날 하루 아침에 개통이 된 것이 아니라 최초에는 한 마을에서 다른 마을로, 한 부락에서 다른 부락으로, 한 부족에서 다른 부족으로,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점점더 인적 물적 교류가 확대되면서 길이 수천년간 꾸준히 연장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런 과정을 거쳐 유라시아 대륙에 거미줄 처럼 얽혀지게 된 실크로드는 수천년의 역사를 통해 동양과 서양간의 교류를 매개하는 문화와 문명의 소통의 길로서 그 역할을 수행해 왔다.

실크로드(Silk Road(s); 독일어로 Seidenstrasse)라는 말은 1877년 독일의 지리학자 리흐토펜(Ferdinand Freiherr von Richthofen: 1833-1905)이 처음 사용한 것에서 유래한다. 그는 중국을 탐험하고 또한 로마와 그리스의 고전을 탐구한 끝에 비단이 나는 곳에 사는 사람들(라틴어로 Seres)이라는 말과 비단이 나는 곳(라틴어로 Serica)말이 바로 중국을 가리키는 것을 발견하고 자신의 저술에 그 교역로를 실크로드로 명명한 것이 오늘날 실크로드 즉, 비단길로 불리우게 된 것이다. 그후에는 실크로드는 동양과 서양을 연결하는 교역로의 대명사로 불리우게 되었다.

최초에 실크로드가 한 점에서 다른 한 점으로 연결되는 선을 긋고 그 선이 점점 더 길어지기 시작하는 초창기에는 그것이 순전히 교역로로서의 기능만을 위해서 만들어 진 것은 아니었다. 인간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데는 교역보다 더 중요하거나 시급한 문제가 얼마든 있다. 예컨대, 식량을 구하기 위해 이동을 하고 사냥을 위해 이동을 하고 전쟁을 위하여 이동을 하는 등 교역보다는 좀 더 근본적이고 다목적인 용도로 길을 만들고 사용해 왔다.

우리가 지금 언급하는 실크로드라는 길도 원래는 한 지역을 지배하고 있는 국가 혹은 부족이라는 정치행정체제가 현물로 세금을 걷고 사람이나 물자를 동원하기 위하여 도로를 건설하고 관리하였으며 사실 그런 용도로 도로를 사용한 빈도수가 낙타와 함께 상업목적으로 도로를 이용한 대상들(caravan) 보다 훨씬 많았다. 따라서 그렇게 형성된 도로를 사람과 짐승과 물자가 각종 목적으로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이웃 부락이나 다른 지역공동체간에 물자의 교환 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 형성된 길을 원거리 교역을 목적으로 하는 대상들이 이용하게 되자 드디어 서서히 교역로서 기능도 추가된 것이었다.

실크로드가 관통하는 유라시아 대륙에는 가축을 기르면서 그들을 먹일 풀을 찾아 끊임없이 이동해야하는 유목민들도 살고 있었고 한 지역에 정착하여 농사를 짓는 농민들도 이웃에 같이 살았다. 그들 간에도 서로 식품이나 의류 등의 생활필수품을 교역을 하느라 길을 이용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물자가 부족한 유목민들이 농민들이나 도시에 사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약탈도 하면서 이용한 길이 모두 요즘 실크로드로 불리우고 있다.

이렇게 다목적으로 사용되었던 길이 유라시아 전 대륙에 여러 갈래로 걸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길 모두를 통털어 단순히 비단교역길 즉, 실크로드라고 부르기에는 미흡한 면이 많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런 길이 교역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복합적인 도로로서의 역할을 했으므로 차라리 ‘공존의 길’이나 ‘소통의 길’ 같은 것으로 불리우는 것이 더 나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실크로드가 동서간에 사람이나 물자의 이동을 책임지는 기능을 하였을까? 일반적으로 관련 학자들은 이런 교역로가 중국 한나라 시대인 기원전 200년 경 부터라고 추정을 하기도 하고 페르시아 지역의 교통로를 보면 기원전 500년 경에 효율적인 도로망이 형성되었다고 하면서 여러가지로 견해가 나뉘어 있다.

헤로도투스(Herodotus: BC 484 출생)도 페르시아의 훌륭한 도로망을 칭찬하였고 알렉산더 왕은 기원전 330년 경에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 일대에 잘 닦여진 도로를 타고 정복전쟁을 벌인 것으로 보아 적어도 기원전 5-6세기 경에는 이미 잘 닦여진 실크로드로 수많은 사람들이 여러가지 목적으로 이동하고 있었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반면 천산산맥과 파미르 산맥의 동쪽 즉, 타림분지 일대에 살면서 인도-유럽피안 언어를 사용하던 토카리안(Tokharians)들은 기원전 2천년 경으로 추정되는 시기부터 자신들의 지역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연옥(軟玉: nephrite jade)을 중국과 교역하였으며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지역에서 생산되는 루비가 파미르 산맥을 넘어 중국과 교역했을 것으로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더구나 현재 중국 영토의 서부인 타림분지에서 기원전 18세기 경의 유럽인 계통의 유골이 발견됨으로서 유라시아 대륙에서 동서양의 교류는 일반적인 추정보다 훨씬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 따라서중국인들과 서역인들 사이의 교역이 적어도 기원전 2000년 이전부터 이루어졌고 따라서 실크로드의 본격적인 기원도 그 때부터라고 추정을 하여야 할 것이다.

*외부 필진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