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7/706306_20150719183450_146_0002.jpg)
정부가 무인항공기 주파수 확보를 위해 산·학·연·관 공동연구반 구성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실은 관계 부처가 주파수 등 무인기 현안별 공동 연구반 구성에 협력한다고 19일 전했다.
옴부즈만실은 최근 무인기 산업융합촉진 워크숍을 열고 미래창조과학부·산업부·국토교통부 등 정부 부처, 산학연 전문가와 무인기 산업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김판열 미래부 주파수정책과 사무관은 “관계부처를 비롯해 기업,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무인기 주파수 확보 공동연구반 구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정부가 무인기 산업 발전을 지원하고자 부처 간 협력을 강화했지만 주파수에 초점을 맞춘 작업반은 없었다.
무인기는 기체 조종과 임무 데이터 송신에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다. 아직 뚜렷한 주파수 가이드라인이 없어 업계 혼선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소형 드론은 주로 산업·의료용으로 쓰이는 비면허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 중 2.4/5.8㎓ 대역을 쓴다. 밀집지역이 많은 우리나라는 출력 범위를 10㎽로 제한해 조종 가능 거리가 짧다는 게 업계 불만이다.
중형급 무인기는 해외에서 들여온 통신모듈이 대부분 900㎒ 대역을 쓰고 있지만 국내 이동통신용 대역과 겹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무인기 제어 외에 영상 데이터 송출 등 임무용 주파수를 별도 확보하는 것도 과제다.
정부는 무인기 산업 발전에 필요한 주파수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지만 주파수가 유한한 자원이어서 한계가 있다. 김 사무관은 “막연한 주파수 수요 제기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떤 대역이 필요한지를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주파수 규정과 무인기 활용 현장 간 괴리가 큰 탓에 피치 못해 규정을 위반하는 사례가 많다”며 “무인기 주파수를 명확히 정리하면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